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트럼프 관세 폭탄 뉴욕증시 대왕고래 긴급대피

글로벌이코노믹

트럼프 관세 폭탄 뉴욕증시 대왕고래 긴급대피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솔라나 카르다노 와르르 급락 ... 이더리움, PI, PEPE, SOL 단기매도
뉴욕증시/사진=로이터 이미지 확대보기
뉴욕증시/사진=로이터
비트코인· 리플 "팔고 따나라" 가상화폐 폭락 … 뉴욕증시 닥터둠 "트럼프 관세 당분간 대피"

트럼프 관세 발표에 가상암호화폐에 매도 주의보가 내려졌다. 이더리움·PI·PEPE·솔라나 급락 가능성 경고들이 들어왔다.

2일 뉴욕증시와 암호화폐 업계에 따르면 트럼프 상호관세 폭탄 발표로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솔라나 카르다노 등 가상화폐에 비상이 결렸다. 관세폭탄으로 미국의 물가가 올라갈 가능성이 높고 인플레가 오면 그동안 금리인하를 추진해왔던 연준 FOMC가 금리인하를 중단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금리인상을 단행할 수도 있어 금리인하를 호재로 받아들여왔던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솔라나 카르다노 등 가상 암호화폐로서는 멘붕에 빠졌다. 암호화폐 전문매체 코인게이프는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4월 2일 ‘관세 발표(Liberation Day)’로 암호화폐 시장 전반의 투자심리가 급격히 악화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더리움(ETH), 파이네트워크(PI), 페페(PEPE), 솔라나(SOL)는 가격 하락에 취약한 종목으로 분류된다.

코인게이프는 트럼프 상호관세 발표와 관련하여 이더리움, PI, PEPE, SOL 네 종목을 단기 매도 후보로 분류했다. 암호화폐 시장은 트럼프 대통령이 4월 2일 '해방의 날(Liberation Day)' 상호관세및 수입차·제약업계 관세 발표로 강한 불확실성에 휩싸인 상태다. 코인텔레그래프는 이번 비트코인 하락의 원인으로 두 가지를 꼽았다. 첫째는 비트코인 현물 시장에서의 수요 부족과 선물 시장에서의 위험 회피 심리이다. 둘째는 지난주 발표된 미국 2월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표의 상승과 함께 12년 만의 최저치를 기록한 소비자 신뢰지수다. 골드만삭스는 이와 같은 지표 악화를 근거로 향후 12개월 내 경기 침체 확률을 35%로 상향 조정했다.
스카이브리지 캐피털(SkyBridge Capital) 창업자 앤서니 스카라무치(Anthony Scaramucci)가 비트코인(BTC) 강세장의 조기 종료 가능성을 경고했다. 핵심 변수는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무역 전쟁 행보에 달려 있다고 보고있다. 스카라무치는 독립 저널리스트 데이비드 린(David Lin)과의 인터뷰에서 "비트코인은 현재 거시적 불확실성에 의해 억눌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투자자들이 트럼프 전 대통령의 친시장적 접근을 기대했지만, 관세 관련 혼선과 갈팡질팡한 정책 기조가 예상을 벗어났다고 평가했다. 그는 "트럼프가 관세 위협을 완화하면 비트코인은 올해 안에 20만 달러에 도달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만약 트럼프가 무역 전쟁을 본격화하고, 유럽 및 서방 동맹과의 긴장이 고조된다면 비트코인은 10만 달러 수준에 머물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그는 “지금처럼 정부와 금융의 균형이 무너진 비정상적 환경에서는 BTC가 더 높은 수준으로 오르기 어렵다”며, 2017년과 2021년과 같은 ‘정상적인 친시장 환경’으로 돌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스카라무치는 트럼프의 경제 정책 기조가 상승 흐름의 결정적 변수로 작용할 것이라고 재차 강조했다.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 미국 대통령이 전 세계 무역 파트너국을 대상으로 ‘상호 관세(Reciprocal Tariffs)’를 공식 발표하면서 비트코인(BTC) 가격은 하루 상승분을 모두 반납하고 하락세로 전환됐다. 시장은 이번 발표를 고위험 자산 회피 신호로 해석하며 급격한 변동성에 휩싸였다.트럼프가 국가별 관세율을 차등 적용하겠다고 밝힌 순간부터 리스크 자산 매도를 시작했다. BTC는 저항선을 돌파하지 못하고 되돌림을 보이며 단기 하락 채널에 진입한 상태다. RSI(상대강도지수)는 중립선 아래로 떨어졌다. MACD(이동평균 수렴확산 지수)도 음전환된 상태로 추세 전환 가능성은 낮은 편이다. 분석가들은 83,500달러가 단기 지지선으로 작용할 수 있으나, 추가 하락 시 81,000달러대까지 열려 있다고 전망했다.

크립토슬레이트는 이번 발표로 인해 그동안 시장을 억눌렀던 관세 불확실성이 일부 해소되었지만, 투자자들이 당분간 리스크 회피 기조를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도했다. 반면 금(Gold)은 안전자산 선호 속에 3,100달러 근처까지 급등하며, 비트코인과 대조적인 흐름을 보였다. 향후 시장은 트럼프의 추가 무역 정책 발표, 미국 CPI 등 거시 변수에 따라 방향이 재설정될 것으로 보인다. 단기적으로는 반등보다 하방 테스트 가능성이 우세하며, 투자자들은 관망세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엑스알피(XRP), 솔라나(Solana, SOL), 도지코인(Dogecoin, DOGE) 보유자들의 수익률은 일제히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시장 심리가 반등과는 다른 방향으로 흘러가고 있음을 시사한다.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 전 미국 대통령이 전격 발표한 '상호 관세(Reciprocal Tariffs)' 정책이 비트코인(BTC) 가격 흐름에 악영향을 주고 있다. 이번 발표 직후 단기 랠리를 이어가던 비트코인은 상승세가 멈추며, 반락 우려가 확대되고 있다.

트럼프는 중국에 대해 34%, 인도 26%, 유럽연합(EU) 20%, 캄보디아 최대 49% 등 주요 국가 수입품에 고율 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했다고 보도했다. 자동차와 철강을 넘어 '통화조작', '환경 규제 회피국' 등 비금융적 무역장벽까지 겨냥해 규제 범위를 확대한 점이 시장에 충격을 주었다고 분석했다. 코인게이프는 이같은 무역 긴장이 글로벌 위험자산 선호심리를 약화시켜 비트코인에 단기 하락 압력을 가했다고 진단했다. 비트코인은 발표 직전까지 상승세를 보였으나 이후 급락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트럼프의 보호무역 정책이 장기적으로는 인플레이션 자극 요인으로 작용해 비트코인 상승론에 힘을 실어줄 수 있다고 평가하면서도,

전 SEC(미국 증권거래위원회) 위원이자 자유시장 옹호자로 알려진 폴 앳킨스(Paul Atkins)가 새로운 SEC 의장 후보로 지명되며, 암호화폐 업계 전반에 변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시장에서는 그가 강경 규제 노선을 버리고 ‘건설적 규제 프레임워크’를 도입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앳킨스는 2002~2008년 SEC 위원 재임 시절 과도한 규제에 반대하며, 자유시장 중심의 접근법을 견지해왔다고 설명한다. 특히 2004년, 투자은행의 자기자본 비율 규제 완화를 허용한 결정으로 비판받았으나, 동시에 투자자 보호와 시장 투명성 강화 노력도 병행했다는 점에서 엇갈린 평가를 받는다.

뉴욕증시에 따르면 루비니 교수는 블룸버그TV에 출연해 트럼프 상호관세폭탄으로 가상 암호화폐 폭락이 예상된다면서 "비트코인등을 멀리하라"고 말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미리 예견한 것으로 유명한 '닥터 둠' 누리엘 루비니 미국 뉴욕대 교수가 가상화폐 비트코인 투자에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고 투자자들에게 조언했다. 루비니 교수는 비트코인을 "모든 거품의 어머니"(the mother of all bubbles)라고 지칭한 것으로도 유명하다.

루비니 교수는 특히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의 관세 부과와 이민 통제 등 정책이 인플레이션을 부채질해 미국의 장기 국채 수익률을 더 높일 수 있다고 전망했다. 루비니 교수는 "이전에 확산했던 모든 인플레이션 충격은 장기채 수익률이 더 높아질 것임을 암시한다"며 "인플레이션이 점점 높아지는 세상에서는 (투자) 포트폴리오의 주식 부분에서도 손실을 보고 채권 부분에서도 손실을 보게 된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인플레이션이 높을 때 잘 작동하는 것들을 결합한 대안이 필요하다"며 미 국채 장기물과 단기물의 수익률 격차가 확대될 때 수익을 내는 '커브 스티프너'(curve steepener) 투자를 추천했다.

미국 상원의원 토미 터버빌(Tommy Tuberville)이 은퇴연금 401(k)를 통해 비트코인 등 암호화폐에 투자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금융 자유법(Financial Freedom Act)'을 재발의하며, 미국 내 디지털 자산 투자 자유화 논의가 다시 불붙고 있다.
암호화폐 전문매체 더크립토베이직에 따르면, 터버빌 상원의원은 FOX 비즈니스 인터뷰에서 “국민이 자신의 돈을 자유롭게 투자할 권리가 있다”며 해당 법안을 의회에 제출한다고 밝혔다. 해당 법안은 기존 미국 노동부가 암호화폐를 401(k) 투자 대상에서 배제한 조치를 정면으로 반박한다. 법안 발의는 전 대통령 조 바이든 행정부의 반(反)암호화폐적 규제 기조를 비판하고, 현재 도널드 트럼프가 강조하는 '비트코인 초강국' 전략을 지원하기 위한 차원으로 보인다. 트럼프는 “나는 ‘크립토 대통령’이 될 것”이라며 다수의 친(親)암호화폐 행정명령을 준비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터버빌 의원은 해당 법안을 2022년에도 처음 발의했으나, 당시 미국 내 불리한 규제 환경 속에서 별다른 진전을 이루지 못했다. 하지만 현재는 비트코인이 2024년 한 해에만 120% 상승하는 등 장기 수익률 면에서 기존 자산을 크게 앞지르면서 투자 자산으로서의 정당성이 재조명되고 있다. 상원의원 신시아 루미스(Cynthia Lummis) 역시 미국 정부가 100만 비트코인을 비축 자산으로 보유하도록 하는 '비트코인법(Bitcoin Act)'을 다시 추진하고 있으며, 달러의 기축통화 지위를 유지하기 위한 전략으로 비트코인을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미스는 “미국은 더 이상 망설일 시간이 없다. 비트코인을 통해 채무 상환도 가능하고, 국가 재정 안정성 확보에도 기여할 수 있다”며 법안 통과를 강하게 촉구하고 있다. 이는 블랙록 CEO 래리 핑크(Larry Fink)가 최근 “달러가 비트코인에 기축통화 지위를 뺏길 수 있다”고 경고한 것과도 맞물린다.


김대호 글로벌이코노믹 연구소장 tiger828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