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최장수 은행장 용퇴 후폭풍... 임기 종료 앞둔 은행장들 '살얼음판'

글로벌이코노믹

금융

공유
0

최장수 은행장 용퇴 후폭풍... 임기 종료 앞둔 은행장들 '살얼음판'

지배구조 모범관행에 따라 9월부터 본격 인선작업 개시
금융당국 금융 CEO 장기집권 견제… 업계 파장에 촉각

왼쪽부터 이재근 KB국민은행장, 정상혁 신한은행장, 이승열 하나은행장, 조병규 우리은행장, 이석용 농협은행장. 사진=각사이미지 확대보기
왼쪽부터 이재근 KB국민은행장, 정상혁 신한은행장, 이승열 하나은행장, 조병규 우리은행장, 이석용 농협은행장. 사진=각사


현직 최장수 은행장인 박종복 SC제일은행장이 내년 1월 7일 10년만에 퇴임하기로 하면서 연말 임기가 끝나는 은행권 최고경영자(CEO)들이 살얼음판을 걷고 있다.
연말연시 은행장 임기 종료를 앞둔 은행들은 금융당국이 제시한 '은행지주·은행의 지배구조에 관한 모범관행'에 따라 내달부터 은행장 인선 절차에 나서게 된다. 금융당국이 금융권 CEO의 '장기 집권'에 따가운 시선을 일부 은행들은 부담이 되고 있다.

또 올해 횡령·부당대출 등 각종 금융사고 끊이지 않으면서 은행장 인선에 당국 입김을 걱정하고 있다.
손태승 전 우리금융그룹 회장 친인척 부당대출 사태로 금융당국이 현 경영진 책임론을 제기하면서 타깃이 된 조병규 우리은행장은 중징계를 받을 경우 연임이 어려워질 수 있다.

28일 금융당국과 금융권에 따르면 연말연시 은행장 임기 종료를 앞둔 은행들은 금융당국이 제시한 '은행지주·은행의 지배구조에 관한 모범관행'에 따라 당장 다음달부터 은행장 인선 절차에 돌입할 예정이다.

모범관행은 모든 은행이 현 은행장 임기만료 최소 3개월 전 경영승계절차를 개시하도록 한 원칙이 담겼다. 주요 시중은행장은 2년 임기에 추가로 1년을 더해 통상 임기 3년이 주를 이룬다.

올해 말이나 내년 초 임기가 끝나는 은행장은 상당수다. 강신숙 Sh수협은행장은 임기가 올해 11월 17일로 가장 먼저 종료를 앞두고 있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주요 시중은행의 은행장의 임기는 올 연말까지로 동일하다. DGB금융지주 회장과 iM뱅크(옛 대구은행) 은행장을 겸직하고 있는 황병우 은행장과 고병일 광주은행장, 백종일 전북은행장도 임기가 연말까지다.

박종복 SC제일은행장은 임기가 내년 1월 7일까지로 여유가 있는 편이지만 가장 먼저 용퇴를 선언했다. SC제일은행은 지난해 10월 금융당국이 금융권 CEO들의 장기 집권에 불편한 시선을 보냈음에도 박 행장의 연임을 결정한 바 있는데 이번엔 박 행장 스스로 퇴임을 결정했다.

이를 두고 외국계 은행에서도 수장들의 장기 집권에 금융당국의 영향이 미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그간 외국계 은행들은 당국의 입김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탓에 성과만 뒷받침되면 경영 연속성을 이유로 임기를 추가하는 경우가 많았다. 역대 최장수 은행장은 14년간 한국씨티은행을 이끌었던 하영구 전 행장이다. 박 행장은 하 전 행장에 이어 역대 두번째이면서 현직 최장수 행장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이번 정부 들어 금융당국이 금융권 CEO의 장기집권에 따가운 눈초리를 거두지 않고 있다”며 “올해 상반기 SC제일은행이 홍콩 ELS 배상 여파로 실적도 타격을 입으면서 더이상 은행에 부담을 주지 않기 위해 용퇴를 결정한 것 같다"고 분석했다.

박 행장의 용퇴로 주요 은행장들의 거취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업계에선 예의주시하고 있다.

최근 은행권은 견고한 수익성에도 불구하고 연이은 금융사고로 여론과 금융당국의 집중 포화를 맞고 있어서다.

특히 손태승 전 우리금융 회장 관련 부당대출 후폭풍으로 조병규 우리은행장은 연임에 빨간불이 켜졌다. 금융당국은 우리은행 현 경영진이 관련 사안을 인지하고도 보고하지 않았다고 중징계를 검토하고 있다. 금융사 임원에 대한 제재 수위는 △주의 △주의적 경고 △문책경고 △직무정지 △해임 권고 등 5단계로 문책경고 이상은 중징계로 분류돼 3∼5년간 금융사 취업이 제한된다. 실제 중징계가 내려질 경우 조 행장의 연임은 불가능한 셈이다.

다른 은행장들도 안삼할 수는 없는 상황이다. 농협은행에서는 최근 100억원대 횡령사고를 포함 올해만 네 번째 금융사고가 발생했다. 또한 최근 가계부채 관리 부실로 이복현 금감원장이 은행권을 강하게 비판하면서 날을 세우고 있는 점도 변수다.


정성화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sh122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