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PF 옥석 가려보니 '좀비 사업장' 9.7% 구조조정 대상

글로벌이코노믹

PF 옥석 가려보니 '좀비 사업장' 9.7% 구조조정 대상

금융당국 "시스템 리스크 가능성 없어"
광주광역시 남구 봉선동에 짓고 있는 한 아파트 건설 현장. 사진=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광주광역시 남구 봉선동에 짓고 있는 한 아파트 건설 현장. 사진=연합뉴스
정부가 강화된 잣대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장 평가를 실시한 결과, 9.7%가 구조조정 대상으로 분류됐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 기획재정부, 국토교통부 등 관계기관은 2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제4차 부동산 PF 연착륙 점검회의를 열고, 이런 내용의 '부동산 PF에 대한 금융사의 사업성 평가 결과'를 공개했다.

그간 금융당국의 금융사의 객관적·합리적인 PF사업성 평가를 유도하기 위해 '사업성 평가기준'을 강화해 이른바 '좀비 사업장'을 솎아내는 '옥석 가리기'를 추진해 왔다.

금융권은 강화된 기준에 따라 지난 6월 말 기준 연체나 연체유예, 만기연장 3회 이상 사업장 등 부실 가능성이 높은 33조7000억원 규모의 1차 평가 대상 사업장을 대상으로 사업성 평가를 실시했다.
평가 결과 구조조정 대상에 해당하는 유의(C등급), 부실우려(D등급) 여신은 21조원으로 전체 금융권의 PF 익스포저 216조5000억원 중 9.7% 수준으로 집계됐다.

유의·부실우려 부동산 PF 사업장 중 공사가 진행 중인 본PF까지 진전된 경우는 4조1000억원에 그쳤고, 브리지론이 4조원, 토지담보대출이 12조9000억원에 달했다.

금융업권별 구조조정 대상 부동산 PF 사업장은 상호금융 등이 9조9000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저축은행 4조5000억원, 증권 3조2000억원, 여신전문금융업권 2조4000억원, 보험 5000억원, 은행 4000억원 순이었다.

금감원은 오는 9월 말 기준 2차 사업성 평가도 계획하고 있다. 금감원이 1차 평가 대상 사업장을 제외한 182조8000억원 규모의 나머지 사업장에 대해 강화된 잣대로 시뮬레이션을 돌린 결과, 유의·부실우려 여신은 2조3000억원으로 나타났다. 이를 합할 경우, 전체 구조조정 대상 PF사업장 비중은 10.8%까지 높아질 수 있는 셈이다.

다만 금감원은 이번 사업성 평가에 따른 금융권의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내다봤다. 금융사들이 추가 충당금을 적립했지만 대부분 증자 등을 통해 자본비율을 높였기 때문이다.

1차 평가대상의 대손충당금 적립액은 6조7000억원이다. 다만 자본비율은 증자 등을 통해 증가했다. 상호금융권은 지난해 말 7.58%에서 올해 6월 말 8.01%로, 저축은행은 같은 기간 14.68%에서 15.04% 등으로 올랐다.

박상원 금감원 부원장보는 "금융권의 손실흡수능력이 제고된 상태"라며 "고정이하여신 비율이 높다고 부실로 연결되는 것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건설사의 연쇄 도산 가능성에도 선을 그었다. 유의·부실우려 여신 대부분이 브리지론이나 토지담보대출이고 공사가 진행 중인 본PF 규모는 크지 않아서다. 또한 유의·부실우려 사업장에 참여 중인 시행사는 대부분(93.1%) 1개 유의·부실우려 사업장을 보유 중이어서 연쇄 부실 가능성도 크지 않다는 게 금감원의 설명이다.

박 부원장보는 "건설사들의 유동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 대형 건설사에 대한 영향은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시스템 리스크 우려는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정성화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sh122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