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임기 4개월 남은 이복현, 우리금융 '초강수'… 동양·ABL생명 인수 먹구름

글로벌이코노믹

임기 4개월 남은 이복현, 우리금융 '초강수'… 동양·ABL생명 인수 먹구름

손태승 관련 부당대출 730억…현 경영진서 451억
"우리금융 M&A 심사 2월 중 금융위에 송부"
금융위 의결 거쳐 최종 결론…3등급이어도 조건부 승인 가능
"임기 종료 4개월 앞둔 금감원장, 여론몰이 골몰" 비판도
이복현 금감원장이 4일 서울 여의도 금융감독원에서 열린 2024년 금융지주·은행 등 주요 검사 결과 관련 브리핑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이복현 금감원장이 4일 서울 여의도 금융감독원에서 열린 2024년 금융지주·은행 등 주요 검사 결과 관련 브리핑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매운맛'을 예고한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우리금융그룹을 정조준한 정기검사 중간 브리핑에서 초강공 모드를 유지했다.

금감원은 지난해 8월 확인된 우리은행 350억원의 부당대출 외에 추가로 380억원을 적발하고 현 경영진 고강도 제재 가능성을 시사했다.

또 이 원장은 우리금융이 추진 중인 동양생명과 ABL생명 인수합병(M&A) 관련 은행 제재와 별개로 경영실태평가 등급 산정을 빠르게 진행하기로 해 인수에 먹구름이 끼고 있다.

하지만 우리금융의 경영실태평가 등급이 하향되더라도 상급기관인 금융위원회가 인수 승인 최종 결정 권한을 갖고 있어 이 원장의 매운맛이 효력을 발휘할지는 미지수다.
4일 금감원이 발표한 ‘2024년 지주·은행 주요 검사 결과’에 따르면 우리금융과 우리은행 정기검사 결과 손태승 전 우리금융 회장 친인척 관련 부당대출 규모가 2배 이상 확대됐다. 이미 확인된 350억원 외에 정기검사를 통해 380억원이 추가로 드러난 것이다. 손 전 회장이 연루된 부당대출을 포함한 우리은행의 부당대출 규모는 2334억원으로 집계됐다.

금감원은 우리금융 현 경영진을 정조준했다. 손 전 회장이 연루된 부당대출 730억원 중 451억원(61.8%)은 임종룡 회장의 취임 이후인 2023년 3월 이후 취급됐다는 점에서 임 회장이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것이다.

이 원장은 "전임 회장 재직 시 사적 이익과 관련된 대규모 금전 취급은 당사자뿐만 아니라 이를 통제하지 못한 모든 분에게 책임이 있다"면서 "한 명의 일탈로 인해 벌어진 일인지, 고치기 어려운 조직문화 때문인지 지적하는 게 오늘 브리핑의 의미 중 하나다"라고 말했다.

이번 발표로 우리금융이 추진 중인 동양생명과 ABL생명 인수에도 불확실성이 커졌다.

금융당국 자회사 편입 승인 규정 등에 따르면 우리금융이 두 생보사를 인수하려면 2등급 이상을 받아야 한다. 우리금융은 현재 2등급인데 경영실태평가 등급은 정기검사를 기반으로 도출되는 만큼 3등급으로 하향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금감원은 제재와 별개로 생보사 인수 관련 불확실성을 빠르게 걷어내기 위해 제재와 별개로 경영실태평가 등급 산정 과정을 빨리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이 원장은 "2월 중에라도 금융위원회에 저희 의견을 통보할 수 있어야 금융위에서 3월 중에 판단할 수 있을 것"이라며 "제재 절차와 별도로 분리해 경영실태평가 결과를 도출하려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금감원이 3등급으로 종합등급을 하향해도 금융위에서 '인수 승인'을 결정하면 우리금융은 두 생보사를 품을 수 있다. 관련 규정에 따르면 지주회사는 경영실태평가 2등급 이상 기준에 미달한 경우에도 자본금 증액이나 부실자산 정리 등을 통해 요건이 충족될 수 있다고 금융위가 인정할 경우 자회사 편입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기관과 경영진에 대한 징계 여부와 수위는 해를 넘겨 결정될 가능성이 크다. 금융기관과 경영진의 중징계 결정은 금융위원회 의결 사안으로 2021년 라임펀드 관련 제재의 경우 금융위로 안건이 넘어간 지 1년 6개월여 만에 최종 의결이 이뤄졌다.

금융권 안팎에서는 오는 5월 임기 만료를 앞두고 있는 이 원장이 중간 브리핑을 통해 혼란을 키우고 있다는 볼멘소리도 나온다.

검사 출신인 이 원장은 검찰의 중간발표를 금감원에 도입하는 등 검찰 문화와 시스템을 금감원에 그대로 이식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에 일각에선 이 원장이 중간발표를 통해 여론몰이에만 몰두하고 있다는 비판을 내놓는다.


정성화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sh122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