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성장률 내전에 시달리는 미얀마 제외한 아시아 최하위

미국발 관세전쟁과 경기침체로 주요 기관들이 한국 경제성장률을 0%대로 속속 경고하면서 금리인하를 앞당기고 횟수를 늘려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아시아개발은행(ADB)도 최근 2.0%에서 1.5%로 대폭 낮췄는데, 내전으로 경제가 붕괴된 미얀마(1.1%)를 제외한 아시아에서 최하위 수준이다.
한국은행도 성장을 우선시하는 통화정책을 펴겠다는 방침이지만 고환율과 가계부채 증가세는 섣불리 금리를 낮추기 힘든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13일 금융권에 따르면 국내외 주요 경제 전망 기관들이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대 초중반에서 0%대까지 줄줄이 하향조정하면서 한은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최근 아시아개발은행(ADB)도 2.0%에서 1.5%로 대폭 낮췄다. 내전을 겪으면서 경제가 붕괴된 미얀마(1.1%)를 제외하면 아시아에서 최하위다.
이에 한은이 금리 인하 시기를 앞당기고, 횟수도 늘려야 한다는 주장이 시장에서 힘을 얻고 있다.
김지만 삼성증권 연구원은 "1% 초반을 향하는 성장률 하강에 대한 충분한 대응을 기대해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연내 한국 기준금리 인하 횟수가 5·8·11월 3회로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김유미 키움증권 연구원은 "4월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동결하겠지만 수출 둔화 등 성장에 대한 우려가 높은 만큼 추가 금리 인하 가능성을 열어둘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다만 성장률 하락에도 불구하고 고환율과 가계부채 증가세는 여전히 부담이다. 지난해 12월 중 원·달러 환율이1480원대로 급격히 상승하고 1월 열린 금통위에서 이창용 한은 총재는 기준금리를 동결한 이유로 불안한 환율을 꼽았다. 금통위 의사록과 통화정책방향결정문(통방문)에서도 고환율에 대한 리스크가 수차례 언급되면서 지난해 10월과 11월 연속됐던 한은의 금리 인하 행보가 1월 중단됐다.
원·달러 환율은 지난 4일 윤석열 전 대통령의 퇴임으로 국내 정치 불확실성이 해소되면서 1430.2원까지 내렸다가 미·중 관세전쟁 긴장감이 극에 달했던 9일 1487.6원까지 뛰었다. 10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 이외 주요국의 상호관세 부과를 90일 유예하기로 하면서 12일 1420원대로 내려왔지만 관세전쟁 향방에 따라 다시 급등할 가능성이 남아있다.
서울시 토지거래허가제(토허제) 해제 영향으로 4월부터 다시 가계부채가 급증할 수 있다는 점도 문제다. 지난달 전 금융권 가계대출은 4000억원 증가하는데 그치면서 2월(+4조2000억원) 보다 증가 폭이 크게 줄었다. 다만 매년 4월은 이사철이 본격 시작되면서 가계대출이 증가세가 커지는 시점인 데다 올해는 토허제 해제 당시 신청한 주택담보대이 4월부터 실행되면서 예상보다 큰 급등세가 나타날 가능성이 여전하다는 분석이다.
정성화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sh122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