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은행이 21일 발표한 '2024년 지급결제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국내 가상자산거래소 5곳의 가상자산 시가총액(보유금액)은 104조1000억원으로 집계됐다.
5곳의 가상자산 시가총액은 작년 8월 50조6000억원 수준이었다. 이후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기대감에 9월 54조7000억원, 10월 58조원 등 점차 늘더니 11월 트럼프 대통령 재선이 확정되면서 102조6000억원 수준까지 급증했다. 국재 가상자산시장 시가총액이 100조원을 넘어선 건 지난해 11월이 처음이다.
5곳 거래소의 가상자산 투자자 수도 지난해 7월 1672만명에서 지난해 말 1825만명으로 늘었다.

가상자산시장의 성장세에 따라 추가 규제 논의도 본격화되고 있다.
지난해 11월 금융위원회은 가상자산시장과 가상자산사업자에 대한 정책·제도에 관한 법정 자문기구인 '가상자산위원회'를 새롭게 출범시켰다. 최근 가상자산위원회가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 2단계 입법을 위한 논의에 착수하는 등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 추가 입법 논의도 활발히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2단계 입법 논의에는 가상자산사업자 진입·영업행위 규제, 가상자산사업자 유형 세분화, 투명한 가상자산 상장·공시제도 마련, 스테이블코인 규율체계 수립 등이 주요 과제로 포함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한은은 스테이블코인 규제에 목소리를 내고 있다. 스테이블코인이 일반 가상자산과 달리 지급수단적 특성을 내재한 만큼, 광범위하게 발행·유통돼 법정통화를 대체하는 지급수단으로 사용될 경우 통화정책, 금융안정, 지급결제 등 중앙은행 정책수행에 부정적 영향을 초래할 수 있어 별도 규제 체계 마련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이병목 한은 금융결제국장은 "외부 충격으로 스테이블코인 가치가 법정화폐 가치에 정확히 1대 1로 연동되지 않고 가치가 축소될 경우 상환 요구가 이어질 것"이라며 "이 경우 발행 기관은 예금을 대거 인출해서 대응해야 하는 등의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정성화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sh122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