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주 포드와 스텔란티스가 잠정 합의한데 이어, 제너럴 모터스(GM) 역시 디트로이트 자동차 제조업체 중 마지막으로 UAW와 잠정 합의에 도달했다.
UAW는 이번 합의에서 25%의 임금 인상, 인플레이션에 따른 생활비 조정(COLA)의 복원, 공장 폐쇄에 대한 파업권 획득, 근로자 승진 가속화 등을 주요 조건으로 요구했다. 포드, 스텔란티스, GM은 처음에 수용을 거부하다 결국 이런 요구를 대부분 수용했다.
인플레이션도 노조가 임금 인상을 요구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했으며, EV 전환도 고용안정에 대한 우려를 불러일으켜, 노조가 공장 폐쇄에 대한 파업권을 획득할 수 있는 힘이 됐다. 특히, 파업과정에 바이든 대통령과 트럼프 전 대통령의 노조 지지도 큰 배경이다.
노조는 이번 파업에서 성공적 결과를 얻어내면서 새로운 계약으로 더 많은 수입을 올릴 수 있어 재정적 안정성을 강화할 수 있고, 더 많은 권한을 얻어 자동차 산업에서 더 많은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게 됐다.
금번 합의로 기업들은 상당한 재정적 부담을 안게 됐다. 우선 임금 인상 부담이다. 25% 임금 인상은 10년 만에 가장 큰 인상폭이다. 포드의 경우, 이번 합의로 인해 연간 약 11억 달러, 스텔란티스는 약 10억 달러, GM의 경우 아직 정확한 규모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두 회사와 비슷할 것으로 추정된다.
인플레이션에 따른 생활비 조정(COLA)의 복원도 부담 요인이다. COLA는 임금을 물가 상승률에 따라 조정하는 방식으로 2009년 이후 중단됐었다. 이는 자동차 제조업체들의 비용 상승으로 이어진다.
공장 폐쇄에 대한 파업권 허용도 부담 요인이다. 이는 자동차 제조업체들이 공장 폐쇄를 결정하기 전에 노조와 협의해야 함을 의미한다. 이는 자동차 제조업체들의 투자 결정을 어렵게 만들 것으로 보인다.
UAW는 이번 합의를 통해 EV 시대에 노동자 권익을 보호하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했다. 이는 EV 제조업체들에게 큰 부담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근로자 승진 가속화도 부담이다. 과거 초봉에서 최고 임금까지 8년이 걸렸던 것이 이제 3년 안에 도달할 수 있게 됐다.
이 합의는 UAW의 노조원들의 힘을 보여주는 것으로 평가된다. 그간 UAW는 1980년대 이후 자동차 산업의 구조조정과 글로벌 경쟁 심화로 교섭력에서 힘을 잃어왔다. 그러나 이번 합의를 통해 UAW는 다시금 자동차 산업에 강력한 목소리를 낼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자동차 산업의 미래에 미칠 파급 영향도 크다. 이번 합의는 자동차 제조업체들의 비용 상승으로 이어질 것이다. 이는 자동차 가격 상승으로 이어진다.
자동차 가격은 제조원가, 유통비, 판매 마진 등 다양한 요인으로 결정된다. 이번 합의로 제조원가가 상승하면, 자동차 가격도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
포드는 이번 합의로 차량당 약 850달러에서 900달러의 추가적 인건비가 발생할 것이라고 밝혔다.
기존 내연기관 자동차에서 전기차로의 EV 전환은 생산 공정과 인력 구조에 큰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하지만 노조가 공장 폐쇄에 대한 파업권을 획득해 이런 변화 과정에서 노조 입김이 강화돼 사업 재편에 변수가 될 수 있다.
또한, 이런 변화는 자동차 제조업체들의 투자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 비용 상승으로 인해 자동차 생산 감소와 미국 자동차 산업의 경쟁력 약화가 우려된다.
결국, UAW와 자동차 제조업체들의 잠정 합의는 노조 복지 향상에는 상당한 기여를 했지만, 자동차 제조업체에 재정적 부담을 안겨, 자동차 가격 상승과 자동차 제조업체의 투자 감소로 이어질 수 있는 우려를 키웠다.
이제 자동차 제조업체들은 어떻게 추가 비용을 감당하고, 기업의 다른 부분에서 손실을 어떻게 만회할 것인지에 대한 전략을 마련해야 하는 부담을 안게 되었다. 특히, 내연차 기업의 EV 전환에도 더 큰 도전이 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UAW의 파업 결과는 독일을 비롯 국내에도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독일은 전통적인 자동차 강국으로 EV 전환 과정에 큰 도전을 받고 있으며, 이제 노조에서 UAW 전략을 적극적으로 참고해 교섭에 나설 수 있다.
현대기아자동차 노조에서도 근로조건 향상을 위한 교섭과정에서 UAW 요구사항을 참고할 수 있으며, 사측에서도 디트로이트 3사의 교섭 전략을 검토할 것이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