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발암 물질 ‘난연제’ 논란에 휩싸인 미국 자동차 업계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비즈

공유
0

발암 물질 ‘난연제’ 논란에 휩싸인 미국 자동차 업계

조사 기업 101개 가운데 99%에서 발견


자동차에 사용되는 발암 물질 논란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자동차에 사용되는 발암 물질 논란 사진=로이터

미국에서 판매되는 대부분 자동차에서 발암 가능성이 있는 난연제가 검출되면서 미국 자동차 업계가 큰 비난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28일(현지시각) 에포크타임즈는 “현대 자동차 인테리어에 숨어 있는 암을 유발하는 화학 물질”제하 기사를 통해 자동차 운전석에 앉을 때마다 암을 유발하는 화학 물질의 독성 혼합물을 흡입할 우려가 있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화제가 된 발암 물질은 차량 내장재에 사용된 ‘난연제’다. 연방정부는 1972년 교통안전법(FMVSS No. 302)을 통해 차량 내장재에 ‘난연제’ 사용을 의무화했다. 이는 충돌 시 화재 위험을 줄이기 위한 조치였다. 하지만, 약 50년이 지난 이 법령은 시대에 뒤진다는 지적을 계속 받아왔다.
‘난연제’는 미국 고속도로 교통 안전국(NHTSA)에서 제정한 안전 표준을 충족하기 위해 카시트 폼에 첨가된다. 그러나, 이러한 화학 물질 중 다수는 잠재적인 발암 물질이며, 이 중 다수는 신경 및 생식 문제와도 관련이 있다.

지난 7일 미국 엔바이런멘털 사이언스 언드 테크날리지에 발표한 “차량의 난연제 노출은 시트폼 사용과 온도에 영향을 받는다”제하 연구조사 결과에 따르면, 2015년 이후 생산된 101대 차량 중 99%에서 발암성 의심 물질이 검출됐다. 이들 차량에는 염화비닐, 디클로로프로판 등 유해 ‘난연제’가 다량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이런 ‘난연제’가 암, 기형아 출산, 생식기능 저하 등 인체에 심각한 피해를 줄 수 있다고 경고했다. 특히, 어린이와 장시간 운전하는 직업 운전사들에게 더욱 위험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이런 위험성에도 불구하고 화재 예방 효과는 미미하지만, 유독한 연기를 발생해 오히려 큰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는 주장도 있다고 밝힌다.

이에, 전문가들은 기존 ‘난연제’ 사용 법령을 폐지하고, 새로운 안전 표준을 만들 것을 촉구하고 있다. 그들은 ‘난연제’ 없이도 차량 내장재 안전기준을 충족할 수 있는 새로운 규정 마련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차량 소비자들도 발암 물질 노출 사실에 큰 우려를 나타내며 정부와 기업에 적극적인 대응을 요구하고 있다. 일부 시민단체에서는 강력한 소비자 보호 운동에 나설 것이라고 예고하기도 했다.

현지 언론 매체도 이번 사건을 소비자 알 권리 차원에서 크게 다루고 있다. 특히, 정부 규제 미비와 기업의 비윤리적 행태를 고발하는 기사를 작성하고 있다.

이번 사건으로 자동차 업체들은 기업 이미지 실추, 소비자 신뢰 하락, 판매 부진 등 심각한 타격을 입을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 정부가 발 빠른 대책을 마련하지 않는다면, 일부 기업은 소비자 집단 소송에 휘말릴 수도 있다는 우려가 나오기도 한다.

이번 논란의 발단은 1972년 제정된 교통안전법에 있다. 이 법은 차량 내장재에 난연제 사용을 의무화했다. 하지만, 당시의 과학 수준을 반영한 탓에 상당수 ‘난연제’가 발암 물질로 지목되고 있는 실정이다.

반면, 비행기와 철도 등 다른 운송 분야에서는 새로운 규정이 지속적으로 만들어지며 안전성이 강화됐다. 하지만, 자동차 업계만 예외적으로 50년 전 규제를 여전히 따르고 있는 셈이다.

자동차 업체 입장에서는 비용 문제 때문에 기존 ‘난연제’ 사용을 고수해온 것으로 보인다. 새로운 소재 개발과 공정 변경에 많은 비용이 들기 때문이다. 하지만, 소비자 건강을 위협하는 영리 추구라는 지적을 피하기 어려울 전망이다.

반대로 친환경 소재를 사용한 기업들은 이번 사건을 기회로 삼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소비자 신뢰를 바탕으로 시장을 잘 공략한다면 큰 호응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결국, 이번 사태의 해결 방향은 정부가 제시해야 할 것이다. 정부가 새로운 안전 규제를 만들고 기업에 합리적인 이행 기한을 줘야 한다는 지적이다. 아울러 현재와 같은 노후 규제를 계속 방치한 데 대한 미국 정부의 책임도 크다는 여론이 일고 있다.

시민단체들은 발암 물질에서 소비자를 보호하기 위한 근본적인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있다. 이에, 정부와 의회에서 발암물질 사용 실태 전반에 조사와 법 개정 논의가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

자동차 업계도 이번 사태에 단호한 대응책을 내놓아야 할 형편이다. ‘내연재’ 같은 발암 물질 사용을 지속한다면, 소비자 이미지가 크게 손상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자동차 회사들도 대체 소재 연구에 박차를 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결국, 이번 사태는 자동차 업계에 대대적 구조조정의 계기가 될 전망이다. 향후 친환경 차량과 소재 개발에 총력을 기울일 것으로 보인다. 이번 일은 기업들의 단기 수익 추구에 대한 경각심을 불러일으킬 것으로 보인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