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말레이시아, AI 기반 첨단 항구 투자로 ‘물류 혁신’ 나서

공유
0

말레이시아, AI 기반 첨단 항구 투자로 ‘물류 혁신’ 나서

축구장 113개 크기, 중국 기업과 협력해 건설 예정


동남아 시장의 물류 허브를 꿈꾸는 말레이시아         사진=로이터
동남아 시장의 물류 허브를 꿈꾸는 말레이시아 사진=로이터

말레이시아가 인공지능(AI) 기술을 접목한 최첨단의 컨테이너 항구 건설에 나선다.
이 항구는 쿠알라룸푸르 인근 포트딕슨에 건설되며, 말레이시아 기업 탄코홀딩스 와 중국의 CCCCC 드레징 합작 투자로 진행된다고 14일(현지시각) 닛케이가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이 항구는 약 809,300㎡의 1.8km 부두(축구장 약 113개 크기), 터미널 및 컨테이너 운영 구역을 가진다. 가장 큰 컨테이너선을 수용할 수 있다. 아직 예상 완료 날짜는 발표하지 않은 상태다.

이 프로젝트는 최첨단 AI 기술을 활용해 운영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말레이시아의 물류 및 해상 운송 서비스 산업을 활성화하는 것이 목표다.

양측은 이달 초 양해각서(MOU)에 서명했다. 항구 개발지역은 쿠알라룸푸르와 말라카해협의 중간 지점과 가까워 교통량이 많고 말레이시아의 주요 산업 지역과의 연결성이 장점으로 거론된다.

탄코는 말레이시아 금융과 부동산 기업으로 유명하고, 중국 건설업체 CCCC 드레징은 세계 최대 준설 기업으로, 준설 산업의 여러 국제 표준을 제정할 정도로 위력을 가진 기업이다. 총 투자 규모는 약 5,886억 원(4억 2,500만 달러)에 달한다.

이 항구는 AI 기술을 활용해 물류 관리와 컨테이너 운송 효율성을 극대화한다. 자동화된 크레인과 무인 화물 운송 트럭, 스마트 게이트웨이 시스템 등 첨단 시설을 갖출 예정이다.
특히, AI 기반 예측 분석으로 선박의 입·출항 시간을 최적화하고 터미널 작업을 자동화해 물류 처리 속도를 높이는 게 핵심이다. 이를 통해 수출입 기업의 비용을 절감하고 쾌적한 물류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이번 투자는 코로나19 이후 글로벌 공급망 지형이 급변하는 가운데 말레이시아가 해상 물류의 새로운 중심지로 부상하려는 전략의 일환이다.

팬데믹 이후 미국과 중국 등 주요 경제국들이 공급망 다변화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특히, 동남아 지역 국가들은 중국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생산기지 다각화를 추진 중이다.

이 같은 추세에 발맞춰 말레이시아가 물류 거점으로서의 입지를 강화하려는 것이다. 세계에서 가장 붐비는 항로 중 하나인 말라카해협에 근접한 지리적 이점을 살려 물동량을 끌어모으겠다는 구상이다.

이뿐만 아니라 경제가 고도화되면서 말레이시아 국내 물류 수요도 급증하는 추세다. 제조업 기반 수출 경제 성장으로 전자 제품을 비롯한 각종 제조업 물류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말레이시아에서 가장 큰 클랑 항구는 수요 충족을 위해 이미 용량을 두 배로 늘릴 계획이라고 운영사인 웨스트포트 홀딩스가 밝힌 바 있지만, 말레이시아는 기존 항만 시설만으로는 수요를 감당하기 어렵다고 판단하고, AI 기술을 활용한 초대형 컨테이너 터미널 건설로 물류 처리 능력을 획기적으로 확충하기로 한 것이다.

AI 기술 기반 항구는 운영 자동화와 스마트 시스템으로 터미널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선박 대기 시간을 줄이고 화물 하역과 작업 환경을 개선해 비용 절감과 물류 서비스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말레이시아 정부는 최첨단 시설을 통해 물류 경쟁력을 확보하고 관련 산업 성장을 견인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새 항구 건설로 일자리가 대거 창출되고 지역 개발 효과도 클 것으로 기대된다. 정부는 항만과 관련 물류·제조업, 건설업 등 다양한 산업에서 고용과 경제 활성화가 이뤄질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포트딕슨 지역은 이번 투자로 인프라가 크게 개선되고 새로운 경제 허브로 부상할 전망이다. 정부는 항만 건설에 따른 지역 경제 활성화와 균형 발전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중국 기업과의 협력에 따른 안보 문제는 간과할 수 없는 부분이다. 특히, 자유 진영 국가에서는 중국의 일대일로 사업 관련 우려가 적지 않은 상황이다. 일각에서는 중국이 항만 운영에 대한 영향력을 행사하거나, 기술 및 정보 유출을 시도할 가능성을 제기한다.

이런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말레이시아 정부는 항만 시설과 운영에 대한 관리·감독 기능을 강화해야 한다. 핵심 시설 접근 통제, 사이버 보안 강화, 정보 공유 제한 등 구체적인 안전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또한, 기술 유출 방지를 위한 법적·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고, 필요시 국제 협력을 통해 안보 위협에 공동 대응하는 방안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물론, 중국과의 경제 협력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다. 중국은 말레이시아의 중요한 교역 상대국이며, 항만 건설에 필요한 자본과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말레이시아 정부는 국익과 안보를 최우선으로 두면서도 경제 발전의 기회를 살릴 수 있는 균형점을 찾아야 한다.

따라서 말레이시아 정부가 이번 프로젝트에 어떤 안전장치를 마련할지 주목된다. 결국, 국익과 안보를 최우선으로 두면서도 경제 발전의 기회를 살릴 수 있는 적절한 균형을 찾는 새로운 항구 건설과 성공적 운용의 관건이 될 전망이다.

발표에 따르면, 이 항구는 또한 자동화된 크레인, 자율 주행 트럭 및 대형 컨테이너 선박을 수용할 수 있는 최고 수준의 사이버 보안 조치를 특징으로 할 것으로 전망된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