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중국, 신장 사막에서 6GW의 거대한 태양광 에너지 생산

공유
0

중국, 신장 사막에서 6GW의 거대한 태양광 에너지 생산

방글라데시 연간 전력 소비량과 맞먹는 전력 생산

신장 사막을 가로지르는 태양광 단지                            사진=로이터
신장 사막을 가로지르는 태양광 단지 사진=로이터


중국이 신장지역 사막에 세계 최대 규모의 태양광 단지를 건설하며 녹색 에너지의 전환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16일(현지시각) 스페인 에코뉴스가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이 거대한 태양광 단지는 6기가와트(GW)의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규모로, 방글라데시 연간 전력 소비량에 맞먹는다.

2023년 4월 28일에 1GW 규모의 첫 단계가 완료되어 가동을 시작했으며,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중국의 최대 규모 태양광 단지가 가동에 들어가 현재 전체 시설이 가동 중이며, 신장 북서부의 전력망에 연결됐다.

중국은 2022년 기준 전체 발전량의 32%를 재생에너지로 충당하고 있다. 특히, 태양광 발전 부문에서 세계를 선도하고 있는데, 2022년 말 기준 455GW의 태양광 설비를 보유하고 있다. 이는 14억 인구를 가진 인도 전체 발전 설비 용량과 맞먹는 수준이다.

신장 사막에 가동 중인 태양광단지는 약 20만 에이커(축구장 약 113,357개 크기)의 광활한 부지에 6GW 규모의 발전 설비를 갖추고 있다.

신장은 연중 일조량이 매우 풍부하고, 특히 여름에 맑은 날이 많아 태양광 발전에 이상적인 조건을 제공하며, 넓은 면적으로 개발 제한이 없어 최적의 태양광 발전 지역으로 거론된다.

개발에 몇 가지 문제도 있다. 신장의 극심한 기온 변화는 패널의 효율성을 떨어뜨리고 수명을 단축할 수 있어, 온도 변화에 안정적으로 작동하는 내구성 강한 태양광 패널을 사용해야 한다.
또한, 신장의 모래 먼지는 태양광 패널 표면에 쌓여 발전 효율을 떨어뜨릴 수 있다. 물이 부족한 사막이라는 점 때문에 정기적인 청소 및 유지 보수가 어려울 수 있다. 이는 전력량 생산에 영향을 준다. 중국은 이 문제 극복을 염두에 두고 공사를 진행했다.

이번 태양광 발전소에는 첨단 태양광 패널과 추적 시스템, 에너지 저장 시스템 등 최신 기술이 적용돼 발전 효율이 극대화됐다. 특히, 태양광 패널 효율은 업계 평균을 훨씬 웃도는 20.4%에 달하며, 추적 시스템은 낮 동안 태양 움직임에 따라 패널의 각도를 조절하여 에너지 생산량을 최적화한다. 또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통해 잉여 에너지를 저장하여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가능하게 한다.

중국은 이를 두고 세계 최고 수준 태양광 기술력과 생산 능력을 입증했다고 자평한다.

이곳에서 생산되는 전력량은 연간 90억kWh에 달할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룩셈부르크나 파푸아뉴기니 같은 국가 전체의 연간 전력 소비량이다.

이 태양광 단지는 중국 전체 전력 생산량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할 것으로 보인다. 2022년 기준 중국의 총 발전량은 8조 5천억kWh였는데, 이 단지에서만 90억kWh를 생산하게 되는 셈이다.

중국은 2030년을 탄소 배출 정점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206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하겠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서는 화석연료 의존도를 낮추고 재생에너지 비중을 대폭 높여야 한다. 이번 대규모 태양광단지 건설은 이런 노력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

이 프로젝트는 건설과 운영 과정에 수천 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지역경제에도 수십억 달러 투자 효과를 가져왔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신장의 소수민족 인권 탄압 문제와 연계된 강제노동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국제사회는 중국 정부에 투명하고 책임 있는 조사를 요구하고 있으며, 이 문제는 앞으로도 계속해서 논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은 이번 태양광 발전소 건설을 계기로 재생에너지 분야에 대한 투자를 더욱 확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세계 에너지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이며, 특히 태양광 패널 및 관련 기술 분야에서 중국의 영향력이 더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재생에너지 확대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환경 문제와 인권 문제에 대한 우려는 반드시 해소해야 할 부분이다.

앞으로 중국이 재생에너지 확대 과정에서 어떻게 환경 문제와 인권 문제를 해결할지 귀추가 주목된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