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트럼프 제안 관세정책, 글로벌 무역 대변혁 예고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비즈

공유
0

트럼프 제안 관세정책, 글로벌 무역 대변혁 예고

베트남·멕시코·인도 수혜 전망, 중국 타격 불가피... 한국 대응 전략 시급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당선될 경우 한국 경제에는 큰 변혁이 일어날 것 같다.

트럼프의 관세정책, 한국에 미칠 영향은?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트럼프의 관세정책, 한국에 미칠 영향은? 사진=로이터

그의 급진적 관세정책 제안이 글로벌 무역 지형에 큰 지각변동을 일으킬 가능성이 제기되고, 이는 우리 경제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골드만삭스 최근 분석에 따르면, 이러한 정책 변화로 인해 베트남·멕시코·인도 등 신흥국들이 주요 수혜국으로 부상할 전망이다.

외신 보도에 따르면, 트럼프 전 대통령은 재선 시 전체 수입품에 10% 보편 관세를, 중국산 제품에는 60%의 고율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시사했다. 이는 2018~2019년 미·중 무역전쟁 당시보다 훨씬 강도 높은 조치다.

골드만삭스의 분석 결과, 과거 무역전쟁 시기 관세로 인한 무역 변화의 80% 이상이 베트남·멕시코·인도·캄보디아·이탈리아 등으로 재할당될 것이라고 한다.

골드만삭스 경제 모델은 트럼프의 관세정책이 시행될 경우, 멕시코와 동남아시아 국가들의 GDP가 1~2% 증가하는 반면, 중국의 GDP는 약 1% 감소할 것으로 예측했다.

다만, 현재 제안된 관세 규모와 범위가 과거보다 훨씬 크고 광범위해 무역 재할당의 양상이 이 통계보다 더 심각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이러한 변화는 필연적으로 글로벌 공급망의 대대적인 재편으로 이어질 전망이다. 베트남·멕시코 등 신흥국으로의 제조업 투자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중국 의존도가 높은 기업들은 생산기지 다변화의 필요성이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

한국 경제와 기업들에 이런 변화는 양날의 검이 될 전망이다. 베트남·인도 등 신흥국에 이미 진출해 있는 한국 기업들은 상당한 수혜를 입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삼성전자·LG전자 등 베트남에 대규모 생산기지를 보유한 기업들은 미국 시장 접근성 측면에서 유리한 위치를 선점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반면, 중국 의존도가 높은 한국 기업들은 큰 타격이 우려된다. 특히 중간재 수출이 많은 한국 산업 구조상, 중국의 대미 수출 감소는 한국 경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자동차 부품,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주력 수출 품목의 대중국 수출이 줄어들 가능성이 높아, 관련 기업들의 선제적 대응이 시급한 상황이다.

더불어 원화 가치 변동, 글로벌 인플레이션 압력 증가 등 거시경제적 영향 역시 무시할 수 없다. 미국의 관세 부과로 인한 수입물가 상승은 글로벌 물가 상승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이는 한국 수출 경쟁력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전문가들은 한국 기업의 신속하고 유연한 대응 전략 수립을 촉구하고 있다. 생산기지의 전략적 다변화, 신흥국 시장 진출 확대, 리쇼어링 검토 등 다각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특히 첨단 기술 분야에서의 경쟁력 강화가 중요하며, 미국·유럽 등 선진국과의 기술 협력을 통한 새로운 기회 모색도 제안되고 있다.

정부 차원의 대응도 시급하다. 기업들의 해외 진출을 지원하는 정책, 리쇼어링 기업에 대한 인센티브 강화, 신흥국과의 자유무역협정(FTA) 확대 등 종합적인 무역정책 재검토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또한, 미국의 정책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외교적 노력과 함께 세계무역기구(WTO) 등 국제기구를 통한 다자간 협력 강화도 중요한 과제로 꼽힌다.

결국, 트럼프식 관세정책은 글로벌 무역 질서에 큰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한국 기업들의 선제적 대응과 정부의 전략적 지원이 향후 한국 경제의 경쟁력을 좌우할 핵심 요인이 될 전망이다. 불확실성 속에서도 새로운 기회를 포착하기 위해서는 면밀한 시장 분석과 유연한 전략 수립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점이다.

글로벌 경제 환경의 변화에 민첩하게 대응하고, 산업 구조의 고도화를 통해 새로운 성장동력을 발굴해 나가는 것이 한국 경제의 미래를 좌우할 핵심 과제가 될 것이다. 이런 이유로 우리는 미국 대선의 향방과 누가 대통령이 될 것인지에 과거 어느 때보다 더 관심을 기울일 수밖에 없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