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여성 노동력, 글로벌 경제의 새로운 동력으로 부상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비즈

공유
1

여성 노동력, 글로벌 경제의 새로운 동력으로 부상

“골드만삭스 보고서, 여성 노동 참여 증가가 경제 성장과 다양성 확대 기여”

해리스 부통령 진격에서 보듯이, 이제 여성의 힘이 세상을 뚜렷하게 바꾸고 있다. 각계로 진출한 미국의 여성들은 해리스를 중심으로 뭉쳐 미국 정치 판도를 뒤집고 있다.

여성 노동력, 경제 변화에 큰 동력 작용. 사진=로이터 이미지 확대보기
여성 노동력, 경제 변화에 큰 동력 작용. 사진=로이터

이런 가운데, 골드만삭스의 7월 보고서는 지난 25년간 여성의 노동 부문 참여 증가가 글로벌 경제에 미친 심대한 영향을 조명했다.

‘조용한 혁명’으로 불리는 이 변화는 단순한 여성의 경제적인 지위 향상을 넘어 전 세계 경제 구조를 근본적으로 재편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보고서에 따르면, 여성의 노동 참여 증가는 선진국 경제의 안정과 성장에 핵심적 역할을 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이탈리아의 경우 여성 노동력 유입이 전체 노동력 감소를 상쇄했으며 일본에서는 인구 감소에도 불구하고 여성 고용 증가로 노동시장 안정을 유지했다.

이는 여성 노동력이 저출산·고령화로 인한 경제적 도전에 대한 해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런 변화의 동인으로는 가족 친화적 정책, 노동자 보호 법안, 여성의 고등교육 참여 확대, 기업의 다양성 중시 문화 등이 꼽힌다. 특히 주목할 점은 여성 노동 참여와 출산율 간의 관계다.

과거와 달리 최근에 여성 노동 참여와 출산율 사이에 약한 양의 상관관계가 관찰되고 있다. 이는 보육 인프라 확충과 평등 법제화로 인해 일과 육아의 양립이 가능해진 결과로 해석된다.

그러나,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남았다. 여성 노동 참여율은 남성에 비해 낮고, 특히 신흥국에서 그 격차가 크다. 또한, 여성은 파트타임 직종에 종사하는 비율이 높아 임금 격차 문제가 계속되고 있다. 무급 노동, 특히 가족 돌봄 부담이 여성에게 집중되는 것도 노동시장 참여와 고위직 진출을 가로막는 주요 장애물이다.

기업 내 여성 지위 향상도 주목할 만하다. 유럽에서는 이사회 여성 비율이 40%에 육박하는 등 상당한 진전을 보였다. 그러나 최고경영자(CEO) 등 실질적 의사결정 직위에서의 여성 비율은 여전히 낮은 수준이다.

산업별로도 차이가 있어 건설업과 과학 분야에서 여성 고용이 증가하지만, 기술 분야에서는 오히려 감소했다.

그러나 곳곳에서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이번 파리올림픽에 참가한 남녀 선수 비율이 거의 5:5로 동률이고, 바이든 대통령은 남성 선수와 여성 선수 간의 금메달 상금 차이를 없애는 법률에 서명했다. 특히 해리스 부통령이 사상 최초로 세계 최고 강대국의 여성 출신 대통령에 당선할 경우, 비록 즉각적 사회 변화를 기대하기는 어렵겠지만 장기적으로 여성 리더십에 대한 인식 개선과 기회 확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런 변화가 한국 경제에 주는 시사점은 크다. 저출산·고령화로 인해 현재 노동력 부족 문제에 직면한 한국에서 여성 노동력의 활용은 더 중요해지고 있다.

2023년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022년 기준 한국의 여성 고용률은 57.8%로 OECD 평균인 61.8%에 비해 낮은 수준이다. 특히 25-54세 핵심 노동연령대 여성의 고용률은 67.1%로 OECD 평균 72.8%에 크게 못 미치고 있다. 2022년 기준 경력단절 여성은 약 149만 명으로 전년 대비 감소했지만 여전히 높은 수치이다. 주된 사유로는 육아(38.8%), 결혼(24.7%), 임신·출산(21.3%) 순으로 나타났다.

2023년 OECD 자료에 따르면, 2021년 기준 한국의 성별 임금 격차는 31.1%로 OECD 국가 중 가장 높았다. 이는 OECD 평균 12.0%의 2.5배 이상이다. 또한 2023년 고용노동부 자료에 따르면, 코로나19 이후 유연근무제 도입이 확대되었으나, 2022년 기준 전체 임금근로자가운데 18.1%만이 유연근무제를 활용하고 있다. 특히 여성의 유연근무제 활용률(17.2%)이 남성(18.7%)보다 낮았다. 이에 고학력 여성의 경력 단절 문제 해결과 유연근무제 확대, 보육 인프라 확충 등이 시급한 과제로 대두된다. 이런 개선이 이뤄지면 한국의 노동력 문제 해결에 상당한 진전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기업 내 여성 리더십 강화를 위한 제도적 장치 마련도 꼭 필요하다. 단순히 수적 균형을 맞추는 것을 넘어 실질적 의사결정 권한을 가진 직위에 여성 진출을 확대하는 노력이 요구된다.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 확대는 단순한 평등 문제를 넘어 경제 성장의 새로운 동력이 되고 있다. 이는 저출산·고령화 시대에 지속 가능한 경제 발전을 위한 핵심 전략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정부와 기업은 여성 노동력의 잠재력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정책과 환경 조성에 더욱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