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中 알리바바·텐센트, 자국 AI 스타트업에 수십억 달러 투자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비즈

공유
1

中 알리바바·텐센트, 자국 AI 스타트업에 수십억 달러 투자

중국의 기술 거인들이 인공지능(AI) 혁명에 과감한 베팅을 하고 있다.

중국 거대 기술기업, AI 투자 확대,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중국 거대 기술기업, AI 투자 확대, 사진=로이터

알리바바와 텐센트 등 중국 최대 기술 기업들은 자국 AI 스타트업에 막대한 자금을 쏟아붓고 있다. 이는 기업 투자를 넘어 중국의 기술 패권을 지키고 글로벌 AI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한 전략적 움직임이라고 최근 월스트리트저널이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2023년 이후 알리바바의 중국 내 거래의 40%, 텐센트의 30%가 AI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이는 두 기업 역사상 최고 수준이다. 과거 전자상거래, 게임, 소셜 미디어 등 다양한 분야에 분산 투자를 했다면, 이제는 AI에 집중하고 있다. 이는 AI를 미래 성장 동력으로 본다는 명확한 신호이다.
알리바바와 텐센트 등 투자를 받은 ‘작은 AI 드래곤’으로 불리는 6개 이상의 유니콘 기업들은 각기 다른 AI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어, 대규모 언어 모델 개발에 특화한 문샷 AI, 지능형 음성 기술 기업인 호리존 로보틱스, 컴퓨터 비전 기술 기업인 메그비 등이 포함된다. 이들은 각각 10억 달러 이상의 기업 가치를 인정받았는데, 이는 중국 AI 생태계 다양성과 깊이를 보여주는 사례이다.

알리바바와 텐센트의 투자 방식도 주목할 만하다. 단순히 현금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컴퓨팅 파워, 기술 지원, 시장 접근성 등 종합적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예를 들어, 알리바바가 문샷 AI에 투자한 8억 달러 중 3억 달러 이상이 클라우드 컴퓨팅 인프라 사용 크레딧 형태로 제공되었다. 이는 AI 스타트업의 가장 큰 비용 중 하나인 컴퓨팅 접근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을 제공해 돈을 더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이런 투자는 단순한 재무적 이익을 넘어 전략적 협력의 성격이 있다. 알리바바와 텐센트는 이들 스타트업의 기술을 자사의 서비스에 통합하거나, 공동 연구 개발을 진행하는 등 시너지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예를 들어, 알리바바의 클라우드 서비스나 텐센트의 위챗 플랫폼에 이들 AI 스타트업의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런 대규모 투자와 유니콘 기업의 탄생은 중국 AI 생태계의 급속한 성장을 보여준다.

더욱이 중국의 투자 열기는 중국 정부의 규제 강화와 경제 침체 속에서도 여전히 식지 않고 있다. 오히려 생성형 AI는 중국 기술 기업들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부상하고 있다. 알리바바와 텐센트는 AI를 전략적 우선순위로 삼고, 자체 AI 모델 개발과 함께 클라우드 서비스를 통한 AI 컴퓨팅 파워 판매에 주력하고 있다.

실제 중국의 투자 규모와 AI 생태계의 발전 속도는 미국과 비교했을 때도 상당한 수준에 도달했다. CB 인사이트의 2023년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의 AI 스타트업 투자 규모는 미국에 이어 세계 2위를 차지했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중국 AI 유니콘 기업 수가 미국의 절반 수준에 이른다는 것이다. 미국이 약 40개의 AI 유니콘을 보유한 데 비해, 중국은 20개 이상을 보유하고 있다. 이는 중국의 AI 생태계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중국 기업들의 이런 움직임은 미국의 기술 견제 속에서 진행되고 있다는 데 더 의미가 있다. 미국이 첨단 반도체 수출을 제한하면서 중국의 AI 발전에 제동을 걸고 있지만, 중국 기업들은 이를 우회하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투자의 상당 부분을 컴퓨팅 파워 형태로 제공하거나, 제한된 칩을 확보하기 위해 투자자의 네트워크를 활용하는 등 다양한 방법을 동원하고 있다.

미국과 비교했을 때, 중국의 AI 투자 전략은 더욱 공격적이고 광범위하다. 중국 정부와 기업들은 AI를 국가 경쟁력 핵심으로 보고 전방위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미국의 기술 기업들이 오픈AI, 앤스로픽 등 특정 기업에 집중투자하는 것과 달리, 중국 기업들은 다수의 스타트업에 분산해 투자하는 전략을 취하고 있다.

동시에 과열 우려도 있다. 190개 이상 AI 모델이 시장에 출시되면서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으며, 일부 기업들은 차별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향후 이들 투자가 실제 혁신적인 기술과 서비스로 이어질지, 아니면 단순한 거품으로 끝날지도 더 두고 봐야 한다. 이외에도 이런 노력이 지속 가능할지, 그리고 세계적 경쟁력을 갖춘 기업을 배출할 수 있을지는 여전히 불확실하다.

중국 내 AI 모델 시장이 190여 개 정도로 현재 포화 상태에 이르고 있으며, 미국의 기술 제재도 더 강해지고 있다. 특히, AI에 필수적인 고성능 컴퓨터 칩을 미국이 중국에 팔지 않아, 중국 기업들은 최신 기술을 사용하는 데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런 가운데, 중국 정부의 규제 정책 변화는 또 다른 불확실성이다. 이는 관련 규제가 언제든 갑자기 바뀔 수 있다는 부분으로, 예를 들어 중국 정부에서 AI 기술의 사용을 제한하거나, 특정 분야에 대한 투자를 줄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정책 변화는 기업들의 투자 계획을 제약할 수 있다.

투자자들은 이런 불확실성을 고려해야 한다. 단기적으로 중국 AI 기업들의 성장세가 두드러질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 기술적 한계와 정치적 리스크에 직면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중국 AI 기업에 투자할 때는 기술력뿐만 아니라 정부 정책, 국제 관계 등 다양한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결론적으로, 중국 거대 기술 기업들의 AI 투자는 단순한 비즈니스 전략을 넘어 국가적 차원의 기술 패권 경쟁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 이는 글로벌 AI 시장의 판도를 바꿀 잠재력을 가지지만, 동시에 기술적, 정치적 도전에 직면해 있다. 향후 중국 AI 기업들이 이런 도전을 극복하고 글로벌 리더로 성장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