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미국인들의 지갑, 5년 전보다 더 두툼해져"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비즈

공유
1

"미국인들의 지갑, 5년 전보다 더 두툼해져"

“인플레이션 조정 후에도 소득 증가, 신용카드 부채도 소폭 감소”

수치로는 두툼해진 미국인들의 지갑. 사진=로이터    이미지 확대보기
수치로는 두툼해진 미국인들의 지갑. 사진=로이터
미국인들의 지갑이 5년 전보다 두꺼워졌다는 분석이 나왔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이 7일 보도한 바에 따르면, 미국인들은 인플레이션을 감안하더라도 2019년보다 더 많은 돈을 은행에 보유하고 있으며, 소득 대비 신용카드 부채도 소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도에 따르면, 2024년 2분기 기준 미국인 실질 중위소득은 2019년 초보다 약 3.5% 높았다. 특히 2020년부터 2022년까지 소득 하위 25%의 임금 상승률이 가장 높았던 것으로 조사됐다.

은행 예금 잔고도 증가해 JP모건체이스 인스티튜트에 따르면, 지난 2월 소득 하위 25%의 평균 잔액은 1160달러, 상위 25% 소득자는 8143달러를 기록했다.
소득 대비 신용카드 부채 비율은 2019년 말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다만, 금리 상승으로 인해 부채 상환 부담은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트랜스유니언 자료에 따르면, 신용카드 잔액 보유자의 평균 부채는 2019년 말 5834달러에서 올해 1분기 6218달러로 증가했다.

주택시장에서는 소유주와 임차인 간 격차가 벌어졌다. 주택 가격 상승으로 기존 주택 소유자들의 자산 가치는 증가했다. 하지만 임차인들은 임대료 상승 부담에 직면했다. 레드핀에 따르면, 지난 7월 중간가격 주택 구입 시 월 상환액은 3010달러로, 2019년 12월의 1566달러에서 크게 늘었다.

미국인의 전반적 소득 향상 흐름의 배경에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미국 정부의 대규모 경기부양책과 연준의 완화적 통화정책이 자리 잡고 있다. 정부 지원금으로 인한 가계 저축 증가, 저금리 기조에 따른 자산 가격 상승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볼 수 있다.

이처럼 미국인의 소득 수준은 5년 전과 비교해 전반적으로 개선된 것으로 보인다. 실질 중위소득이 2019년 초 대비 약 3.5% 증가했다는 점은 인플레이션을 감안해도 평균적인 미국인의 구매력이 향상되었음을 시사한다.

계층별로 살펴보면, 특히 소득 하위 25%의 임금 상승률이 2020년부터 2022년까지 가장 높았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이는 저소득층의 경제적 상황이 상대적으로 더 크게 개선됐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대략 소득 하위 25%의 임금 상승률이 평균보다 높았다고 가정하면, 이들의 실질소득 증가율은 4~5% 정도로 추정해볼 수 있다.

그러나 체감 만족도는 소득 증가율만큼 개선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다. 미시간대학의 소비자 심리 조사에 따르면, 경제에 대한 낙관론이 증가하고 있지만, 여전히 많은 미국인이 2019년 이전의 경제 상황을 더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이는 인플레이션 영향과 경제적 불확실성이 계속되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상대적 빈곤감 측면에서 소득 격차가 여전히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JP모건체이스 인스티튜트의 데이터에서 소득 상위 25%와 하위 25% 간의 예금 잔고 차이가 상당히 크다는 점(8143달러 vs 1160달러)은 이를 잘 보여준다. 또한 주택시장에서 소유주와 임차인 간의 격차가 벌어졌다는 점도 상대적 빈곤감을 심화할 수 있는 요인이다.

이런 상황은 전반적인 경제지표 개선에도 불구하고 미국 사회 내 경제적 불평등과 계층 간 격차가 여전히 중요한 이슈로 남아있음을 시사한다.

한편, 전반적 소득 수준 향상은 미국 경제와 소비 시장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된다. 소득 증가와 부채 부담 완화는 소비 여력 확대로 이어질 수 있어 내수시장 활성화에 도움이 될 전망이다. 다만, 주택시장의 양극화와 고금리로 인한 부채 부담 증가는 잠재적 위험 요인이다.

한국 경제와 기업에도 상당한 영향이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의 소비 여력 확대는 한국 수출 기업에 새로운 기회로 작용할 수 있다. 특히 삼성전자·LG전자 등 대형 가전 및 IT 기업의 스마트폰, TV, 가전제품 수출이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 또한 현대자동차·기아 등 자동차 업체의 미국 시장 점유율 확대에도 긍정적인 요인이 될 수 있다.

패션, 화장품 등 소비재 산업도 혜택이 예상된다. 아모레퍼시픽·LG생활건강 같은 화장품 기업들의 미국 시장 진출이 더욱 탄력을 받을 수 있으며, 삼성바이오로직스 등 바이오 기업들의 의약품 수출도 증가할 전망이다.

그러나 미국의 금리 인상 기조는 한국 경제에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원화 가치 하락으로 인한 수입물가 상승, 외국인 투자자금 유출 등이 우려된다. 특히 한국의 수출 의존도가 높은 산업 구조를 고려할 때, 글로벌 금융시장의 변동성 확대는 한국 경제 전반에 위험으로 작용할 수 있다.

투자자들은 이 변화를 주시하며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미국 소비 시장의 회복세는 관련 기업들의 실적 개선으로 이어질 수 있어 긍정적이다. 그러나 인플레이션 압력과 금리 인상 가능성, 주택시장 불안정성 등 위험 요인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 또한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이 계속되는 만큼 분산 투자와 위험 관리에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