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호주 석탄 산업 '진퇴양난'...탄소 중립 시대 '생존' 위한 몸부림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비즈

공유
0

호주 석탄 산업 '진퇴양난'...탄소 중립 시대 '생존' 위한 몸부림

에너지 전환 과도기, 수요 높지만 규제·세금 압박 심화
"수익 극대화 vs. 자산 매각"...석탄 기업, '선택의 기로’

호주 석탄 산업이 '진퇴양난'의 상황에 놓였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호주 석탄 산업이 '진퇴양난'의 상황에 놓였다. 사진=로이터
호주 석탄 산업이 '진퇴양난'의 상황에 놓였다. 탄소 중립 시대 도래와 함께 재정적, 규제적 압박이 거세지고 있지만, 에너지 전환 과도기에 여전히 높은 수요는 석탄 산업의 '숨통'을 틔워주고 있다.

호주 경제에서 석탄 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상당하다. 2023년 기준으로 석탄 수출은 호주 GDP의 약 6%를 차지하며, 연간 수출액은 1000억 호주 달러를 상회한다. 또한, 이 산업은 직간접적으로 약 20만 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있어 호주 경제의 중요한 축을 담당하고 있다.
9일(현지시각) 닛케이 보도에 따르면, 호주 석탄 생산업체들은 새로운 광산 개발과 기존 광산 확장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배출량 감축 노력,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석탄 가격 하락, 세금 인상 등 악재가 겹쳤기 때문이다.

그래튼 연구소의 토니 우드 에너지 프로그램 책임자는 "일부 석탄 기업은 자산을 매각하고 있지만, 다른 기업들은 시장이 위축될 것을 알고 '수익 극대화'를 위해 자산을 활용하려 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호주 정부는 최근 화이트헤븐, 마크 에너지, 얀콜 등 3개 석탄 광산의 운영 기간 연장을 승인했다. 이는 재생 에너지 도입이 지연되면서 전력 수요 격차를 메우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환경단체들은 석탄 광산 운영 연장 승인에 대해 "호주의 2050년 탄소 중립 목표 달성을 지연시킬 수 있다"며 비판했다. 하지만 타냐 플리버섹 호주 환경부 장관은 "정부는 2030년까지 전력의 82%를 재생 에너지로 생산한다는 목표를 고수하고 있다"며 "석탄은 철강, 알루미늄, 시멘트 등 중공업 지원에 필수적"이라고 반박했다.

일부 석탄 기업들은 철강 제조에 사용되는 코킹용 석탄 수요 증가에 주목하고 있다. BHP와 앵글로 아메리칸 등 주요 광산업체들이 구리 등 '미래 지향적인 광물'에 집중하면서 코킹용 석탄 생산 기회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화이트헤븐은 최근 BHP와 미쓰비시 상사로부터 블랙워터 석탄 광산을 인수했으며, 오스트레일리안 보웬 코킹 콜은 바턴 석탄 광산의 생산량 증대를 계획하고 있다.

호주 석탄 업계는 정부의 산업 관계 개혁에도 반발하고 있다. 특히, 여러 회사의 근로자가 단일 단체 협약을 협상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다중고용주 협상' 규정에 대해 "생산성을 저해하고 미래 투자를 위축시킬 것"이라고 비판했다.

글렌코어, 피바디, 화이트헤븐 등 주요 석탄 회사들은 최근 공정노동위원회(FWC)의 다중고용주 협상 판결에 대해 항소했다. 이들은 "노조 협상권 강화는 1970년대와 1980년대 호주 경제를 강타했던 산업 분쟁을 재현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전문가들은 호주 석탄 산업이 에너지 전환 과도기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탄소 중립 목표 달성을 위한 노력을 지속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석탄 산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서는 환경 규제 준수, 재생 에너지 투자 확대, 신규 기술 개발 등이 필요하다.

호주 석탄 산업은 현재 기로에 서 있다. 한편으로는 국가 경제에 큰 기여를 하고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환경 문제와 국제적인 탈석탄 흐름에 직면해 있다. 석탄 산업의 경제적 중요성을 고려하면서도 환경 문제를 해결하고 장기적인 산업 전환을 준비해야 하는 복잡한 과제에 직면해 있다. 정부와 기업은 이러한 도전과 기회 속에서 균형 잡힌 접근을 통해 호주 경제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도모해야 할 것이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