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연준 투트랙 통화정책 "시장 혼란 우려"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비즈

공유
0

연준 투트랙 통화정책 "시장 혼란 우려"

금리인하 시사하며 QT 지속
"쾌속정과 유조선" 비유로 설명한 연준의 깊어지는 고민

미 연준, 투트랙 통화정책, 그 끝은 어디로.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미 연준, 투트랙 통화정책, 그 끝은 어디로. 사진=로이터
미국 금융시장은 연방준비제도(Fed)의 2024년 금리 인하 가능성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연준이 금리 인하를 검토하면서도 대차대조표 축소(양적 긴축·QT)를 지속하겠다는 견해를 보이자, 상충된 정책 기조가 시장에 미칠 영향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22일(현지 시각) 배런스는 이를 두고 전례 없는 통화정책 실험으로서, 글로벌 금융시장의 새로운 도전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연준의 대차대조표는 코로나19 대응 과정에서 9조 달러까지 급증했다가 지난주 7조 달러 수준까지 감소했다. 이는 2022년 3월 이후 꾸준한 축소 기조를 반영한 것이다. 현재 연준은 매월 최대 250억 달러의 국채와 350억 달러의 모기지담보부증권(MBS)의 만기 상환을 허용하고 있으며, 재투자를 하지 않는 방식으로 대차대조표 축소를 진행하고 있다.

연준 정책당국자들은 현재의 준비금 수준이 "풍부하다"고 판단하고 있으며, 이는 뉴욕 연은이 개발한 준비금 수요 탄력성(RDE) 지표를 통해 확인된다. RDE는 지급준비금 변동이 연방기금금리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는 지표로, 현재 지급준비금 변동이 금리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분석이다. 이러한 상황은 연준이 예상치 못한 충격이 없다면 2025년까지 QT를 안정적으로 지속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샌프란시스코 연은의 메리 데일리 총재는 이러한 정책 기조의 차이를 "금리 조정은 쾌속정과 같고, 대차대조표는 유조선과 같다"고 비유하며 설명했다. 이는 금리정책과 대차대조표 정책의 효과가 나타나는 시차의 차이를 강조한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이런 정책 기조는 시장에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 대차대조표 축소는 시장의 유동성을 감소시키고 채권 수익률에 상승 압력을 가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반면 금리 인하는 시장의 자금조달 비용을 낮추고 유동성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 상반된 정책 효과는 시장 참여자들의 투자 결정을 어렵게 만들 수 있다.

연준의 크리스토퍼 월러 이사는 이 우려에 대해 "경제적 결과가 나쁘면 물을 붓고, 불이 꺼지면 물을 빼낸다"는 소방관의 비유를 들어 설명했다. 이는 정책의 비대칭성을 강조한 것으로, QT의 점진적 진행이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일 것이라는 판단을 반영한다.

금융기관들이 단기 자금을 조달하는 핵심 통로인 레포 시장의 안정성도 주목된다. 레포 시장에서는 금융기관들이 보유한 국채를 담보로 제공하고 하룻밤 또는 단기간 자금을 빌리는데, 이 시장이 원활히 작동하지 않으면 전체 금융시스템의 유동성 순환에 차질이 발생할 수 있다.

투자자들은 2019년 9월의 경험을 상기하며 신중한 태도를 보인다. 당시 QT 초기 단계에서 은행권의 지급준비금이 급격히 감소하며 레포 시장이 불안정해졌고, 레포 금리가 급등하면서 연방기금금리가 목표 범위를 이탈하는 상황이 발생했다. 결국 연준은 긴급하게 준비금을 증강하는 조치를 해야 했다.

현재 상황에서 투자자들의 우려는 금리 인하와 QT의 동시 진행이 2019년과 유사한 시장 불안을 촉발할 수 있다는 점에 있다. 금리 인하는 시장에 유동성을 공급하는 효과가 있지만, QT는 반대로 유동성을 흡수한다. 이 상반된 정책이 시장의 유동성 상황을 예측하기 어렵게 만들고, 특히 스트레스 상황에서 예기치 않은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연준의 투트랙 통화정책은 단기적으로 시장의 변동성을 높일 수 있으나, 중장기적으로는 정책의 정상화 과정에서 필요한 과도기적 현상으로 이해될 수 있다. 투자자들은 이 정책 환경하에서 리스크 관리에 더욱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으며, 특히 채권시장과 단기금융시장의 움직임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연준의 정책 실험이 성공적으로 안착할 수 있을지 여부는 향후 글로벌 금융시장의 주요 관심 포인트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