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트럼프發 관세폭탄에 중국의 '경제 핵무기' 되살아나나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비즈

공유
0

트럼프發 관세폭탄에 중국의 '경제 핵무기' 되살아나나

중국, 국채매각·위안화 절하 카드로 맞대응 시사...글로벌 경제 '요동’
상호 보복할 경우, 세계 경제 7% 위축 가능성
IMF "프랑스·독일 경제 규모만큼 손실 우려"

중국의 경제 보복, 글로벌 경제 대란 초래할 수도.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중국의 경제 보복, 글로벌 경제 대란 초래할 수도. 사진=로이터

미 대선이 10여 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재집권 가능성이 커지면서 미중 무역전쟁 재점화에 따른 글로벌 경제 질서의 대혼란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트럼프는 재선 시 중국산 제품에 최대 100% 관세를 부과하고, 전체 수입품에도 20~50%의 '보편적 관세'를 적용하겠다고 공언했다.

IMF는 미국발 관세전쟁이 확산될 경우, 세계 GDP의 7%가 증발할 수 있다고 경고했으며, 이는 프랑스와 독일의 경제규모를 합친 것과 맞먹는 수준이다. 기타 고피나스 IMF 제1부총재는 "이는 지난 30년간 우리가 경험한 세계와는 완전히 다른 것"이라며 우려를 표명했다고 BBC가 최근 보도했다.

무역전쟁의 전조는 이미 현실화되고 있다. 중국은 EU의 전기차 관세 부과 검토에 맞서 유럽산 브랜디에 최대 39%의 보복관세를 부과하기로 했다. 이는 트럼프의 재집권 가능성이 커지는 상황에서 중국이 경제적 압박카드를 실제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이런 가운데, 울프 리서치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트럼프의 고율 관세 정책이 현실화될 경우 달러 제너럴, 파이브 빌로우, 딕스 스포팅 굿즈 등 중국산 제품 의존도가 높은 미국 소매업체들이 직격탄을 맞을 것으로 분석했다. 여기에 모통, 커민스, 파스테널, 디어 등 산업재 기업들도 실적 하방 압력에 직면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배런스가 최근 보도했다.

이들 기업은 매출의 30~50%를 중국산 제품에 의존하고 있어 관세율이 60%로 상향될 경우 영업이익률이 평균 5%p 이상 하락할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달러 제너럴의 경우 전체 매출의 70% 이상을 중국산 생활용품이 차지해 수익성 악화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산업재 기업들 역시 핵심 부품의 중국 조달 비중이 높아 대체 공급처 확보까지 상당한 비용 부담이 예상된다.

배런스는 더욱 우려되는 것은 중국의 맞대응이라고 경고했다. 중국의 '비전통적 경제무기' 사용 가능성이 미국과 중국은 물론 세계 경제를 다시 뒤흔들 수 있다고 우려했다. 라자드 에셋매니지먼트는 특히 위안화 평가절하, 희토류 수출제한, 미 국채 매각이라는 '3대 경제무기'는 글로벌 금융시장과 산업 전반에 강력한 충격을 줄 수 있다고 분석했다.

먼저 위안화 평가절하는 미국의 관세효과를 무력화하는 동시에 글로벌 환율전쟁을 촉발할 수 있다. 위안화가 10% 절하될 경우 미국의 60% 관세 효과가 상당 부분 상쇄되며, 이는 다른 아시아 국가들의 연쇄적 통화 약세로 이어질 수 있다.

미 국채 매각도 글로벌 금융시장의 블랙스완이 될 수 있다. 이는 미국 금리 상승을 촉발해 미 연준의 통화정책 운신의 폭을 제약할 수 있다. 이에 더해, 위안화 약세 정책은 달러화 가치 하락으로 이어져 글로벌 외환시장의 변동성을 확대할 수 있다. 신흥국 자본유출을 가속할 수 있으며, 외환보유액의 상당 부분을 달러 자산으로 보유한 한국도 자산가치 하락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 실제 중국은 올해 들어서만 미 국채 보유량을 8160억 달러에서 7750억 달러로 축소한 바 있다.

이외에도 중국은 미국 기업의 중국 시장 접근 제한, 핵심 원자재 수출통제, 항공기 수입제한 등 다양한 보복카드를 보유하고 있다. 특히 애플, 테슬라 등 중국 시장 의존도가 높은 미국 기업들이 표적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중국의 이러한 경제적 보복이 현실화될 경우 글로벌 경제 질서는 즉각적인 충격을 받을 수 있다. 위안화 평가절하는 미국의 관세효과를 무력화하는 동시에 글로벌 환율전쟁을 촉발할 수 있으며, 희토류 공급 제한은 미국의 첨단산업 전반에 타격을 줄 수 있다.

맥쿼리의 티에리 위즈먼 전략가는 "선거 결과를 둘러싼 법적 분쟁 가능성까지 더해지면서 미국 기관들에 대한 신뢰도 하락이 달러 약세를 더욱 부추길 수 있다"고 경고했다. 다만, 로이트홀드 그룹은 "역사적으로 볼 때 대선 결과가 주요 자산군의 장기 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며 다소 낙관적인 견해를 보였다.

한편, 미중 무역전쟁의 격화는 한국 경제에 특히 치명적인 충격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2024년 현재 한국의 대중 수출의존도는 22.8%, 대미 수출의존도는 17.5%에 달해 양국 간 무역분쟁이 본격화될 경우 직접적인 타격이 불가피하다. 한국은행과 주요 국책연구기관들의 분석에 따르면, 무역전쟁 심화 시 한국의 GDP 성장률이 최대 1.2%p 하락할 수 있다는 전망이다.

특히 중국의 '3대 경제무기' 사용은 한국 경제에 복합적인 충격을 줄 것으로 우려된다. 먼저 중국의 위안화 평가절하가 10% 수준으로 진행될 경우 한국의 대중 수출은 연간 150억 달러 이상 감소할 전망이다. 여기에 미국의 고율관세가 더해질 경우 수출 감소 폭은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의 희토류 수출제한도 한국의 주력 산업에 큰 타격이 될 수 있다. 한국의 반도체, 디스플레이, 2차전지 등 첨단산업은 희토류 조달의 대부분을 중국에 의존하고 있어 공급망 교란 시 생산 차질이 불가피하다. 더욱이 미 국채 매각으로 인한 글로벌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는 외환보유액의 상당 부분을 달러자산으로 보유한 한국의 대외건전성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런 대외 충격은 수출 둔화→제조업 고용 감소→투자 위축→내수 침체로 이어지는 악순환을 촉발할 수 있다. 특히 반도체, 디스플레이, 자동차부품 등 글로벌 공급망과 긴밀히 연계된 주력 산업이 직접적인 타격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전문가들은 한국 정부와 기업들이 시장 다변화, 공급망 재편, 기술 경쟁력 강화 등 종합적인 대응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고 지적한다. 특히 신남방·신북방 정책을 통한 수출시장 다변화, 소재·부품·장비 산업 육성을 통한 공급망 자립화가 시급한 과제로 꼽힌다.

전문가들은 이번 무역전쟁이 1930년대 스무트-홀리 관세법 사태를 연상시키는 전례 없는 글로벌 경제 충격이 될 수 있다고 경고한다. 당시 미국의 고율관세는 세계적 보복관세 연쇄를 촉발해 대공황을 심화시켰다. 특히 지금은 금융시장의 상호연계성이 훨씬 높아져 충격의 전이 속도와 강도가 더욱 클 것으로 예상된다.

결국, 이번 미 대선은 단순한 정권 교체를 넘어 세계 경제 질서의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미중 갈등의 전면전으로 세계 GDP 7%가 증발할 수 있다는 IMF의 경고는 전 세계적 차원의 선제적 대응이 시급함을 시사한다. 각국 정부는 무역전쟁 격화에 대비한 거시경제 안정화 정책을 마련하고, 기업들은 공급망 재편과 리스크 관리를 서둘러야 할 것이다. 특히 한국과 같은 수출의존국들은 시장 다변화와 산업 고도화를 통해 미중 무역전쟁의 부정적 파급효과를 최소화하는 장기 전략 수립이 절실한 시점이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