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중국, 트럼프 고관세 대비 다양한 전략적 대응 방안 모색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비즈

공유
0

중국, 트럼프 고관세 대비 다양한 전략적 대응 방안 모색

경제 자립도 높이고 무역 파트너 다각화로 관세 압박에 맞서

자유무역을 외치는 리창 중국 총리.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자유무역을 외치는 리창 중국 총리. 사진=로이터

도널드 트럼프가 미국 대통령으로 재선되면서 중국에 대한 고율 관세 부과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중국은 다양한 전략을 통해 이러한 압박에 대응할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22일(현지시각)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가 보도했다.

첫째, 경제적 자립성 강화가 주요 목표로 설정되고 있다. 중국은 미국산 농산물 및 기술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자국 내 생산성을 높이고, 대체 작물 재배를 장려하는 등의 조치를 하고 있다.

예를 들어, 중국은 농업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드론 기술을 활용하여 경작지와 수자원의 감소 문제를 해결하고 있으며, 기장과 같은 가뭄에 강한 작물의 재배를 촉진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은 중국이 자국의 식량 안보를 확보하고, 미국의 압박에서 벗어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무역 파트너 다각화가 중요한 전략으로 부각하고 있다. 중국은 브릭스 국가 및 라틴 아메리카와의 경제 협력을 강화하며 새로운 수출 시장을 확보하고 있다. 최근 몇 년 동안 중국과 라틴 아메리카 간의 무역이 많이 증가했으며, 이는 미국의 고관세 정책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책으로 작용할 수 있다.

시진핑 주석은 페루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서 "중국은 세계에 문을 더 넓게 열 것"이라고 강조하며, 이러한 다각화 전략을 더욱 강화할 것임을 시사했다.

셋째, 기술 자립도 향상이 필수적이다. 미국의 기술 제재로 인해 중국은 반도체 및 첨단 기술 분야에서 자립성을 높이는 데 집중하고 있다.

예를 들어, 화웨이는 퀄컴의 스냅드래곤과 유사한 7나노미터 프로세서를 개발하는 등 기술력을 강화하고 있으며, SMIC(중국반도체제조공사)는 미국의 제재에도 불구하고 7나노미터 칩 생산에 성공했다. 이러한 기술적 진보는 중국이 미국의 압박에도 불구하고 경제적 독립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넷째, 대미 수출 통로 확보가 필요하다. 중국은 멕시코와 베트남 등 제3국을 통한 우회 수출 경로를 확보하며 미국 시장 진입을 지속 모색하고 있다.

이러한 전략은 미국의 고관세 정책을 피하면서도 필요한 제품을 공급할 방법으로 작용할 것이다. 또한, 중국 기업들은 멕시코에 공장을 세워 미국으로의 수출을 원활하게 하고 있으며, 이는 트럼프 정부의 관세 정책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책이 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내수 진작을 위한 대규모 재정 패키지가 계획되고 있다. 중국 정부는 경기 부양을 위해 10조 위안 규모의 지원책을 발표하며 내수 시장 활성화를 도모하고 있다. 이는 외부 충격에 대한 저항력을 높이고 경제 성장을 지속하기 위한 중요한 조치로 해석된다.

도널드 트럼프의 고관세 정책은 중국 경제에 중대한 도전 과제가 될 것이지만, 중국 정부는 다양한 대응 방안을 통해 이러한 압박을 극복하려 하고 있다. 자립성 강화를 통한 경제 구조 개선과 무역 파트너 다각화는 향후 중국이 글로벌 경제에서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루는 데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다.

이러한 전략들은 또한 미·중 간의 긴장이 심화하는 상황 속에서도 중국이 자신의 입지를 강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미국과 중국 간의 무역분쟁이 장기화하면서 한국 경제의 대응 방안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한국이 수출 의존도가 높은 경제 구조를 가진 만큼 양국의 갈등이 지속할 경우 상당한 타격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한다.

한국의 대중국 및 대미국 수출 비중이 총 37%에 달하는 상황에서, 미·중 무역분쟁으로 인한 세계 교역량 감소는 한국의 수출 증가율 하락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특히 한국의 대중 수출품 중 중간재 비중이 높은 점을 고려하면, 중국의 대미 수출 감소는 한국 기업들의 대중 수출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 경제의 대응 방안으로 다음과 같은 전략들이 제시되고 있다.

첫째, 수출 시장 다변화가 필요하다. 신남방 정책과 신북방 정책을 통해 아세안 및 러시아, 중앙아시아 등으로 시장을 확대하여 미·중 양국에 대한 수출 의존도를 낮추는 노력이 요구된다.

둘째, 산업 구조 고도화와 경쟁력 강화가 중요하다. '중국제조 2025'에 대응하여 첨단 산업 분야의 투자를 확대하고, 고급 기술인력 및 원천기술 유출을 방지해야 한다. 또한, 주력 수출상품에 대한 투자와 연구에 집중하여 글로벌 경쟁력을 유지해야 한다.

셋째, 글로벌 가치사슬(GVC) 약화에 대비해야 한다. 사물인터넷, AI, 빅데이터 등을 활용한 '스마트 공장' 조성을 통해 생산 효율성을 높이고, 중소·중견기업의 글로벌 가치사슬 편입을 유도해야 한다.

넷째, 미·중 간 분쟁에서 반사이익을 취할 수 있는 외교 전략이 필요하다. 중국과의 관계를 관리하면서도, 미국 본국에 대한 직접 투자나 합작 투자 등을 통해 현지화를 진행하는 전략을 구사해야 한다.

다섯째, 중국발 금융위기에 대비해야 한다. 미·중 무역분쟁으로 인한 중국의 경제 둔화가 금융위기로 이어질 가능성에 대비하여 리스크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남북 경제 협력과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을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한다. 이는 미·중 관계에서 한국의 전략적 선택지를 늘려줄 뿐 아니라, 새로운 경제 성장의 토대를 제공할 수 있다.

전문가들은 미·중 무역분쟁이 단기간에 해결되기 어려운 구조적 문제라고 지적하며, 한국 정부와 기업이 장기적 관점에서 대응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고 조언하고 있다. 이를 통해 위기를 새로운 기회로 전환할 가능성도 열려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