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중국, 기후변화 대응으로 글로벌 리더십 확보 노려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비즈

공유
0

중국, 기후변화 대응으로 글로벌 리더십 확보 노려

중국이 기후변화 대응을 새로운 글로벌 리더십 확보의 지렛대로 활용하고 있다. 사진=로이터 이미지 확대보기
중국이 기후변화 대응을 새로운 글로벌 리더십 확보의 지렛대로 활용하고 있다. 사진=로이터

중국이 기후변화 대응을 새로운 글로벌 리더십 확보의 지렛대로 활용하고 있다.

트럼프 재집권으로 미국의 고립주의가 예상되는 가운데, 중국의 이런 태도는 국제질서의 근본적 재편을 예고하고 있다.

워싱턴포스트는 23일(현지시각) 중국이 아제르바이잔 바쿠에서 열린 COP29를 계기로 안정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글로벌 리더로 자리매김하려는 전략적 행보를 본격화했다고 보도했다.

중국의 기후변화 대응은 크게 세 가지 축으로 진행되고 있다.

먼저 개발도상국에 대한 대규모 금융 지원이다. 중국은 2016년 이후 245억 달러 규모의 기후 금융을 제공했으며, 이는 영국 등 서방 선진국과 비견되는 수준이다. 둘째로 첨단 친환경 기술의 전략적 활용이다. 중국 전기차 기업 BYD는 COP29 개최국 아제르바이잔에 1억 달러 규모의 전기버스 공장 설립을 약속했고, 이는 중국의 기술력과 경제협력을 동시에 과시하는 계기가 됐다. 마지막으로 일대일로 이니셔티브를 통한 인프라 투자다. 2023년 기준 누적 투자액 1조 달러를 돌파한 이 프로젝트는 이미 150여 개국으로 확대되었다.

이는 트럼프 1기 행정부 시절과 비교할 때 한층 정교해진 전략이다. 당시 미국의 파리기후협약 탈퇴 선언 직후 중국은 2060년 탄소중립 목표를 발표하며 국제사회의 호응을 얻었다. 이번에는 한발 더 나아가 구체적인 경제적 혜택을 제시하며 개발도상국들의 실질적 지지를 확보하고 있다.

그러나 중국의 행보에는 뚜렷한 한계가 있다. 중국은 여전히 세계 최대의 온실가스 배출국이며, 2023년 기준 전체 전력 생산의 56%를 석탄에 의존하고 있다. 2035년까지의 구체적 감축 목표 제시도 거부하고 있다. 아시아 소사이어티 정책연구소의 라일 모리스는 "중국이 대외적으로는 글로벌 공익을 강조하면서도, 국내적으로는 이를 저해하는 정책을 추진하는 이중성을 보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2025년 트럼프 취임 이후 미중 간 전략적 경쟁이 더욱 심화될 것으로 전망한다. 시장의 전문가들은 제2의 트럼프 행정부는 미국의 고립주의적 성향을 강화할 것이며, 이는 중국에 새로운 기회가 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한국 경제에 기회와 위험을 동시에 제공한다. 한국은 세계 6위의 신재생에너지 기술 보유국으로서, 미중 간 기후변화 경쟁 속에서 제3의 대안을 제시할 수 있는 위치에 있다. 특히 수소경제, 배터리, 탄소포집 기술 등에서 세계적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다. 반면, 미중 갈등 심화로 인한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도입은 한국 수출기업들에게 새로운 도전이 될 전망이다.

결론적으로, 중국의 기후변화 대응 전략은 단순한 환경 정책을 넘어 새로운 국제질서 형성을 위한 포석으로 해석된다. 2025년 이후 미국의 고립주의 강화와 중국의 영향력 확대가 맞물리면서, 세계는 더욱 복잡한 지정학적 도전에 직면하게 될 것이다. 한국은 이러한 변화 속에서 기술력을 기반으로 한 전략적 중립자로서의 입지를 구축해나가야 할 것이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