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글로벌 무역 보호주의 강화에 대응해 대대적인 물류 혁신 계획을 발표했다. 2027년까지 연간 1조 위안(약 1380억 달러) 규모의 물류비용 절감을 목표로 하는 7단계 행동계획을 추진한다고 29일(현지시각)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가 보도했다.
교통부 멩 샤오위 운송서비스 부국장은 "국제 물류의 요충지 확보와 함께 국제 공급망 물류의 서비스와 보안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트럼프의 관세 위협과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대응하기 위한 포괄적 전략으로 평가된다.
계획의 핵심은 GDP 100위안당 물류비용을 현재 14.4위안에서 13.5위안으로 낮추는 것이다. 특히 전기차, 리튬배터리, 태양전지판 등 '신(新) 3대 산업' 중심의 효율화가 강조된다.
주목할 만한 점은 중국-유럽 화물철도 서비스 확대다. 정기 운행 확대와 용량 최적화를 통해 일대일로(一帶一路) 물류망을 강화한다는 전략이다.
국가발전개혁위원회 장시신 부사무총장은 "전반적으로 사회 전반의 물류비용 절감 여지가 크다"며 "디지털 전환을 통한 효율화가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계획은 또한 철도·도로 화물 부문 개혁과 함께 빅데이터, 5G, 베이더우 위성항법 시스템 등 첨단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물류 체계 구축을 제시했다. 도시들은 산업 클러스터와 물류 허브의 통합, 공항·항만 경제 확대를 추진하게 된다.
중국 정부는 이를 통해 2027년까지 국제 경쟁력을 갖춘 현대식 물류 기업 그룹을 육성하고, 산업 및 공급망의 회복력과 보안을 크게 강화한다는 목표다.
중국의 대대적인 물류 혁신 계획이 한국 경제에 새로운 도전 과제로 떠올랐다. 전문가들은 중국이 2027년까지 물류비용을 6.3% 절감할 경우 한국의 수출 경쟁력이 크게 약화할 수 있다고 경고한다.
대한상공회의소에 따르면, 한국의 GDP 대비 물류비용은 15.3%로 중국(14.4%)보다 높은 수준이다. 중국이 계획대로 13.5%까지 낮출 경우, 격차는 더욱 벌어질 전망이다.
한국무역협회 관계자는 "특히 전기차, 배터리 등 신성장 산업에서 중국과의 물류 경쟁력 격차가 커질 수 있다"며 "정부 차원의 종합적인 대응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