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과 인도가 국경 갈등 완화를 시작으로 전략적 관계 재조정에 나섰다. 전문가들은 서방의 압박에 대응하기 위한 양국의 공동 전선 구축이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29일(현지시각)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가 보도했다.
10월 브릭스 정상회담에서 시진핑 주석과 나렌드라 모디 총리의 회동을 계기로 시작된 해빙 무드는 지난주 양국 국방장관 회담으로 이어졌다. 특히 2020년 6월 국경 충돌 이후 최악이었던 양국 관계가 급속도로 개선되고 있다.
채텀하우스의 치티지 바즈파이 선임연구원은 "양국의 경제적, 전략적 이해관계가 화해를 이끌었다"며 "특히 트럼프 재선으로 예상되는 미국과의 불안정한 관계가 주요 요인"이라고 분석했다.
주목할 점은 양국의 이해관계가 상충하기보다 보완적이라는 것이다. 중국은 서방의 투자 규제 강화에 대응해 남반구 국가들과의 관계 강화를 모색하고 있으며, 인도는 다차원적 외교 정책을 추구하고 있다.
시나왓라대학의 세네비라트네 교수는 "인도는 우크라이나 사태 관련 대러 제재 동참 압박과 시크교 활동가 살해 사건을 둘러싼 캐나다와의 갈등에서 서방의 태도에 불만이 있다"고 설명했다.
양국은 특히 경제 협력 확대에 적극적이다. 인도 기업들은 글로벌 제조 허브로의 도약을 위해 중국과의 협력이 필수적이라고 보고 비자규제 완화와 투자제한 해제를 요구하고 있다.
브릭스를 통한 협력도 강화될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브릭스의 성공을 위해서는 양국 협력이 필수"라며 "남반구의 지도자를 자처하는 양국이 협력할 경우 강력한 동맹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중국과 인도가 밀월 관계를 강화하면서 한국 외교·경제에도 새로운 과제가 던져졌다. 미·중 갈등이 격화되는 가운데, 중국과 인도가 브릭스(BRICS)를 중심으로 새로운 국제 질서 구축에 나서면서 한국은 '균형 외교'의 시험대에 올랐다.
전문가들은 중국-인도 협력이 글로벌 공급망 재편, 인도·태평양 지역 안보 지형 변화 등 한국에 다층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하며, 미·중 사이에서 줄타기 외교를 넘어 다변화된 외교 전략과 능동적인 경제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중국-인도 협력은 글로벌 공급망 재편을 가속할 수 있다. 한국은 중국과 인도 모두 중요한 교역 파트너이기 때문에 공급망 변화에 민감하게 대응해야 한다. 특정 국가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고, 동남아시아, 인도 등으로 생산 기지를 다변화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핵심 기술 국산화를 통해 공급망 안정성을 확보하는 노력도 중요하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