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중소기업들이 트럼프의 대중국 고율 관세와 멕시코 수입품 25% 관세 공약으로 전례 없는 도전에 직면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일(현지시각) 현지 중소기업들의 깊어가는 고민을 상세히 보도했다.
◇ 중소기업의 '중국 의존' 현실
미국 경제에서 중소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GDP의 59.6%에 달한다. 2022년 기준 중소기업의 대중국 수출액은 192억 달러로, 전체 수출의 17.2%를 차지했다. 수출액은 전년 대비 10.5% 감소했으나, 원자재와 부품 수입까지 고려하면 중국 의존도는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 공급망 재편의 현실적 난관
중소기업들의 탈중국 시도는 예상치 못한 장벽에 부딪혔다. 공작기계 제조업체 토르마흐는 멕시코로 생산기지를 이전했으나, 트럼프의 25% 관세 공약으로 전략 수정이 불가피해졌다. 베트남은 최소 주문량이 1만 개에 달해 소규모 생산이 필요한 중소기업에는 현실적 대안이 되지 못한다.
미국 내 생산 확대도 구조적 한계에 직면했다. 틸릿은 뉴욕 본사에 재봉사 7명을 고용하고 있으나, 샘플과 소규모 주문 생산에 그치고 있다. 숙련공 채용에 평균 3~4개월이 소요되며, LED 커넥션처럼 100만 달러 규모의 설비투자가 가능한 기업은 극소수에 불과하다.
◇ 신흥국으로의 이전 한계
대안 시장으로 주목받는 인도와 인도네시아도 단기 해법이 되기는 어려워 보인다. 인도는 상품 수출의 43.6%를 중소기업이 차지하는 거대 시장이지만, 불안정한 인프라와 복잡한 규제, 숙련공 부족이 걸림돌이다. 인도네시아는 2억7000만 명의 내수시장과 함께 전기차 배터리 산업이 급성장하고 있으나, 현지 생산 시스템 구축과 품질 관리 체계 확립에 최소 2~3년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된다.
◇ 향후 전망과 기업 대응
전문가들은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단계적으로 도입될 것으로 예상한다. 미국의 소비자 저축률 감소와 신용카드 부채 증가 추세를 고려할 때, 급격한 관세 인상은 물가 상승과 소비 위축을 초래할 수 있어 일부 품목 제외나 점진적 도입이 예상된다.
중소기업들은 이러한 불확실성에 대비해 다각적 생존 전략을 모색 중이다. 공급망 다변화와 함께 온라인 플랫폼, CRM, ERP 등 디지털 기술 도입을 가속화하고, 제품 혁신을 통한 차별화를 추진하고 있다. 미 정부의 재도약지원자금과 디지털 전환 지원도 적극 활용하는 추세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