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가 친환경 에너지 전환 과정에서 석탄의 점진적 감축을 선택했다. 세계 4위 석탄 생산국인 인도네시아는 국가 수입의 58%를 석탄이 차지하는 만큼, 급격한 퇴출이 어렵다고 판단한다고 3일(현지시각) 홍콩에서 발행되는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3일(현지시각) 보도했다.
인도네시아는 현재 국가 에너지 믹스의 43%를 석탄에 의존하고 있다. 프라보워 수비안토 대통령은 향후 15년 내 모든 화석연료 발전소 폐기를 목표로 제시했지만, 전문가들은 단계적 감축이 불가피하다고 지적한다.
정부는 세 가지 이유로 점진적 전환이 필요하다고 설명한다. 첫째, 에너지 안보와 경제성 확보다. 석탄은 가정과 산업에 안정적 전력을 공급하며, 이를 대체할 재생에너지 인프라 구축에는 시간이 필요하다.
둘째, 풍부한 천연자원의 활용이다. 인도네시아는 300억 톤 이상의 석탄 매장량을 보유하고 있다. 이를 가스화·액화 등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발전시켜 LPG 수입 의존도도 낮출 수 있다.
셋째, 청정 석탄 기술 도입이다. 반텐의 자바7 발전소는 초초임계 기술로 기존 발전소 대비 효율을 15% 높였다. 탄소 포집·저장 기술과 결합하면 재생에너지 전환까지 가교역할이 가능하다.
인도네시아는 재생에너지 확대도 추진한다. 국영 전력사 PLN은 바이오매스, 수소, 암모니아 등 대체연료 도입을 확대하고 있다. 그러나 1만7000여 개 섬으로 이뤄진 지리적 특성상 전국 단위 재생에너지 인프라 구축에는 시간이 필요하다.
전문가들은 중국의 사례를 주목한다. 중국은 세계 최대 재생에너지 투자국이지만, 여전히 전력의 61%를 석탄에 의존한다. 재생에너지의 간헐성을 보완하기 위해 석탄을 기저발전원으로 유지하고 있다.
인도네시아 정부 관계자는 "제조업과 광업 등 핵심 산업의 안정적 전력 공급이 중요하다"며 "점진적 전환으로 경제 성장과 환경 보호의 균형을 맞출 것"이라고 밝혔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