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中 진출 韓 기업, 트럼프發 관세 공포..."탈중국은 쉽지 않아"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비즈

공유
0

中 진출 韓 기업, 트럼프發 관세 공포..."탈중국은 쉽지 않아"

"생산기지 이전 비용·기술력 부족 등 난관... 베트남·방글라데시도 대안 한계"

2021년 중국 수입박람회 현장의 아모레퍼시픽 전시장 모습.     사진=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2021년 중국 수입박람회 현장의 아모레퍼시픽 전시장 모습. 사진=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의 대중국 관세 위협이 중국 내 한국 중소기업들을 긴장시키고 있다. 생산기지 이전이나 공급망 재편이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점에서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14일(현지시각) 홍콩에서 발행되는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보도했다.

1997년부터 중국 북부에서 메이크업 브러시를 생산해온 한국 중견기업 관계자는 "트럼프의 관세 위협으로 바이어들이 중국 소싱을 중단하거나 가격 인하를 요구할 수 있다"며 우려를 표명했다. 그러나 다른 국가로의 이전은 여전히 어려운 과제라고 지적했다.

특히, 메이크업 브러시 산업의 경우 수십 년간 중국 허베이성 창저우에 공급망이 집중돼 있다. 일부 업체들이 방글라데시, 캄보디아, 미얀마 등으로 진출을 시도했지만, 정치적 불안정과 인프라 부족, 공급망 부재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중국에서 의류 소재를 조달하는 한 한국 기업가는 "트럼프의 관세가 원자재까지 확대되면 비용 상승이 불가피하다"며 "중국과 거래하는 국가에도 관세가 적용될 경우 최종 판매자들이 큰 타격을 받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전문가들은 중소기업들이 특히 취약하다고 지적한다. 가베칼 드래그노믹스의 아서 크로버는 "대기업들은 규정 준수와 무역 전쟁 대응이 가능하지만, 중소기업들은 마땅한 해결책이 없다"고 분석했다.

더욱이, 베트남이나 방글라데시 등은 아직 중국의 기술력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첨단 기술이 중국에 막 자리 잡았는데, 동남아 국가들은 이를 복제할 준비가 안 됐다"고 설명했다.

결국, 중국 내 한국 기업들은 당분간 현상 유지 전략을 택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현재로서는 몇 안 되는 안정적인 시장인 중국을 포기하는 것은 현실적이지 않다"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트럼프의 대중 관세 위협이 한국 기업들의 새로운 도전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중국 의존도를 낮추되 현실적인 단계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급격한 탈중국은 오히려 위험할 수 있다"고 한국무역협회 관계자는 말한다. 공급망과 기술력이 집중된 중국을 대체할 만한 생산기지를 찾기가 쉽지 않다는 설명이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 관계자는 "특히 중소기업들은 생산기지 이전에 따른 비용과 리스크를 감당하기 어렵다"며 "정부 차원의 지원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한국 기업들이 고려해야 할 세 가지 대응 방안을 제시한다. 첫째, 중국 내 생산시설 효율화다. 둘째, 동남아 진출을 위한 단계적 준비다. 셋째, 공급망 다변화를 위한 장기 전략 수립이다.

특히 베트남, 인도 등 신흥국 진출 시 현지 인프라와 기술력을 고려한 전략이 중요하다는 지적이다. 산업연구원 관계자는 "동남아 진출은 업종별 특성과 현지 여건을 고려한 맞춤형 접근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한국 기업들은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 중국 의존도를 낮추되, 현실적인 대안을 찾는 균형 잡힌 접근이 필요한 시점이다. 정부와 기업이 협력해 장기적인 공급망 재편 전략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