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트럼프 재집권, 동남아 청정에너지 전환에 변수로 작용하나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비즈

공유
0

트럼프 재집권, 동남아 청정에너지 전환에 변수로 작용하나

"기후협약 탈퇴·무역장벽 우려...中 영향력은 더 커질 듯"

태국 우본 랏차타니에 있는 시린드혼 댐의 수면 위로 태양 전지 패널.  사진=로이터 이미지 확대보기
태국 우본 랏차타니에 있는 시린드혼 댐의 수면 위로 태양 전지 패널. 사진=로이터

도널드 트럼프의 재집권이 동남아시아의 청정에너지 전환에 새로운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전문가들은 미국의 기후정책 변화가 이 지역의 에너지 전환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한다고 16일(현지시각) 일본의 경제신문 닛케이 아시아가 보도했다.

에너지 시프트 인스티튜트의 푸트라 아디구나 전무는 "트럼프의 거래적 접근 방식이 글로벌 클린테크 부문에 대한 미국의 지원을 불확실하게 만들 것"이라고 분석했다.

특히, 트럼프가 파리기후협약 탈퇴를 재추진할 경우, 동남아 국가들의 배출량 감축 압박이 약화할 수 있다. 또한, JETP(공정에너지전환파트너십)와 같은 국제 이니셔티브에도 차질이 예상된다.

무역 관계도 주목할 부분이다. 트럼프의 '미국 우선주의' 정책은 동남아 청정기술 부문에 대한 무역장벽을 높일 것으로 보인다. 현재 미국은 태양광 장비의 75% 이상을 베트남, 태국, 말레이시아, 캄보디아에서 수입하고 있다.

반면 중국의 영향력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중국은 이미 동남아 최대의 재생에너지 금융국이며, 글로벌 태양광 패널 공급망의 80%, 배터리 시장의 80% 이상을 장악하고 있다.

LNG 수출도 중요한 변수다. 세계 최대 LNG 수출국인 미국은 향후 10년간 수출 용량을 두 배로 늘릴 계획이다. 2027년까지 가스 순 수입국이 될 것으로 예상하는 동남아는 주요 타깃 시장이다.

다만, 미국 기업들의 독자적인 청정에너지 투자는 지속할 것으로 보인다. 구글, 테슬라 등은 대중과 투자자들의 압력으로 야심 찬 청정에너지 목표를 유지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결국 미·중 경쟁이 진전을 주도할 것"이라며 "청정에너지 전환이 이제 단순한 배출량 감소를 넘어 경쟁 우위 확보의 문제가 됐다"고 강조했다.

트럼프의 재집권으로 예상되는 에너지 정책 변화가 한국 기업들에 새로운 과제를 제시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특히 청정에너지 시장에서 미·중 갈등이 심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LNG 수급 전략도 재검토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미국의 LNG 수출 확대 정책이 글로벌 에너지 시장의 판도를 바꿀 수 있기 때문이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