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미국인 방문객 유치를 위해 비자규제 완화 등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지만, 실질적인 방문 증가는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정치적 불확실성과 비용 부담이 주요 장애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고 23일(현지시각) 홍콩에서 발행되는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보도했다.
지난해 시진핑 주석과 바이든 대통령의 정상회담에서 중국은 향후 5년간 5만 명의 젊은 미국인을 수용하겠다고 약속했다. 이후 중국은 학생 비자 절차 간소화, 항공편 할인 등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베이징 당국에 따르면 정책 시행 1년 만에 약 1.4만 명의 미국 청년이 중국을 방문했다. 그러나 이는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수준에 크게 못 미치는 수준이다. 특히 주중 미국대사관은 2023~2024학년도 미국 유학생이 약 1000명에 그쳤다고 밝혔는데, 이는 2019년 1.1만 명의 10분의 1 수준이다.
최근 중국은 미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 시민들에게 제3국 환승 시 비자 없이 특정 도시에 체류할 수 있는 무비자 환승 정책도 확대했다. 또한, 미국의 중국 여행경보도 '여행 재고'에서 '주의 강화'로 하향 조정됐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정책 변화에도 불구하고 방문객 수의 대폭 증가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전망한다. 미국-중국 교육신탁의 로지 레빈 전무는 "여행경보 하향이 중요한 진전이지만, 의회의 비판과 양국 관계의 부정적 기조가 불확실성을 키우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2025년 1월 미국의 정권교체를 앞두고 공화당이 여행경보 완화를 비판하고 중국과 협력하는 미국 학술기관들을 공격하면서, 양국 간 교류의 미래가 더욱 불투명해지고 있다.
CET 아카데믹 프로그램의 타라 선 바나코어는 "미국 학부생들의 '억눌린 수요'가 있지만, 중국어 프로그램 축소와 정부 장학금 감소 등이 걸림돌이 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위스콘신-매디슨 대학의 마크 시델 교수는 "미국 내 중국에 대한 태도가 상당히 경직됐다"며 향후 2년간 중국 방문 미국인의 급증을 기대하기 어렵다고 전망했다.
다만, 단기 방문의 가치도 작지 않다는 평가다. 하버드대 2학년 미리카 잠부디는 "10일간의 중국 방문이 큰 감동을 줬다"며 향후 유학 계획을 밝혔다. 시델 교수도 "단기 방문이 중국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장기 체류로 이어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대다수 미국인에게는 여전히 비용과 정치적 상황이 주요 고려 사항이다. 볼티모어의 여행 컨설팅사 밀레니엄 엔보이스의 대니 에반스 CEO는 "무비자 정책이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여전히 정식 비자 취득을 추천한다"고 말했다.
중국과 미국의 인적교류 사례는 유사한 도전에 직면한 한국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한국도 외국인 관광객 유치와 유학생 교류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는 만큼, 중국의 경험에서 배울 점이 많다.
우선 제도 개선만으로는 국제 교류 활성화에 한계가 있음을 보여준다. 비자규제 완화나 행정절차 간소화도 중요하지만, 정치적 안정성과 신뢰 구축이 더욱 근본적인 요소임을 시사한다.
또한, 국제 교류의 지속가능성을 위해서는 단기 방문과 장기 체류를 연계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특히 교육 분야에서 단기 프로그램을 통해 장기 유학으로 이어지는 경로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
더불어 한국도 글로벌 정세 변화에 따른 리스크 관리가 필요하다. 특정 국가나 지역에 치우친 교류보다는 다변화된 국제 교류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정치적 변화에도 지속 가능한 교류 체계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