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발리 지하철 프로젝트, '교통 체증 해소' vs '중국 부채 함정' 논란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비즈

공유
1

발리 지하철 프로젝트, '교통 체증 해소' vs '중국 부채 함정' 논란

200억 달러 규모 LRT 건설, '중국 자본' 의존...수익성·경제성 의문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역에 도착한 MRT(대중 고속 교통) 열차의 모습.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역에 도착한 MRT(대중 고속 교통) 열차의 모습. 사진=로이터


인도네시아 발리섬의 숙원 사업인 지하철 건설 프로젝트가 불확실성에 휩싸였다. 200억 달러(약 26조 원) 규모의 발리 경전철(LRT) 건설 사업은 섬의 고질적인 교통 체증을 해소할 기대주로 꼽혔지만, 수익성과 경제성에 대한 의문, 중국 자본 의존에 대한 우려 등으로 논란이 지속하고 있다고 24일(현지시각) 일본의 경제신문 닛케이 아시아가 보도했다.
발리 LRT 프로젝트는 인도네시아 민간 부문과 중국철도건설공사(CRCC)의 합작투자로 추진되고 있다. 1단계 구간은 응우라라이 공항과 캉구, 스미냑 등 주요 관광지를 연결하는 16km 노선으로, 2028년 완공을 목표로 한다.

하지만 최근 루훗 판자이탄 전 해양투자조정부 장관은 LRT 1단계 노선이 캉구 대신 세랑안(Serangan) 지역을 연결하는 것으로 변경될 수 있다고 밝혔다. 세랑안은 발리 남동부 해안에 위치한 특별 경제구역으로, 중국 개발업체들이 대규모 리조트 건설을 계획하고 있는 곳이다.
판자이탄 장관의 발언 이후 정권교체까지 겹치면서 발리 LRT 프로젝트는 더 큰 불확실성에 직면했다. 프라보워 수비안토 신임 대통령은 LRT 건설에 대한 명확한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으며, 교통투자부 관계자들도 프로젝트 진행 상황에 대해 모호한 답변만 내놓고 있다.

일각에서는 LRT 프로젝트의 수익성과 경제성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다. 발리 공무원들은 탄소 배출권, 명명권, 외국인 전용 주간 패스 판매 등 다양한 수익 창출 방안을 제시하고 있지만, 실현 가능성은 불투명하다.

레니 마리유리(Leny Maryouri) 교통 인프라 컨설턴트는 "200억 달러라는 사업 규모는 지나치게 비싸며, 여객 운임으로 투자금을 회수하는 데 30~40년이 걸릴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LRT 건설 대신 저렴하고 효율적인 대중교통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발리 LRT 프로젝트는 중국 자본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는 점도 문제로 지적된다. 중국개발은행(CDB)의 차관으로 건설되는 자카르타-반둥 고속철도 사업처럼, 발리 LRT도 중국 자본에 대한 의존으로 인해 '부채 함정'에 빠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아리 아스카라(Ari Askhara) 사라나 발리 드위파 자야 전무는 "LRT 건설 자금은 이미 확보되었으며, 국가 예산은 사용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자카르타-반둥 고속철도 사업에서도 초기에는 국가 예산을 사용하지 않겠다고 약속했지만, 결국 비용 초과로 인해 인도네시아 정부가 추가 부담을 떠안게 된 사례가 있다.

발리섬의 교통 체증은 심각한 수준이며, 관광 산업 발전과 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교통 인프라 확충이 시급한 과제다. 하지만 LRT 건설은 수익성, 경제성, 중국 자본 의존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다.

발리 당국은 LRT 건설을 신중하게 추진하고, 사업 타당성을 면밀 검토해야 한다. 또한, 다양한 대안을 비교 분석하고, 지속 가능한 교통 시스템 구축을 위한 장기적인 관점에서 정책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