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보스틱 "연준, 경제·물가 불확실성으로 금리 동결 연장해야"

글로벌이코노믹

보스틱 "연준, 경제·물가 불확실성으로 금리 동결 연장해야"

"데이터 기반 정책 결정…주택 가격 상승이 물가안정 걸림돌"
라파엘 보스틱 애틀랜타 연방준비은행 총재가 2019년 1월 4일 미국 조지아주 애틀랜타에서 열린 미국경제협회 2019 회의에서 패널 토론에 참여하고 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라파엘 보스틱 애틀랜타 연방준비은행 총재가 2019년 1월 4일 미국 조지아주 애틀랜타에서 열린 미국경제협회 2019 회의에서 패널 토론에 참여하고 있다. 사진=로이터

라파엘 보스틱 애틀랜타 연방준비은행 총재가 미국 경제와 인플레이션 전망의 불확실성을 이유로 금리 인하 중단 연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고 3일(현지시각) 배런스가 보도했다.

보스틱 총재는 3일 애틀랜타 로타리클럽 연설에서 "연방준비제도(Fed)가 지난해 말 단행한 금리 인하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먼저 확인해야 한다"며 "데이터를 면밀히 검토하는 동안 금리 동결이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물가상승률이 연준 목표인 2%를 향해 하락하겠지만, 하락 경로가 순탄하지는 않을 것"이라며 "울퉁불퉁하거나 버벅거릴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준이 중점적으로 관찰하는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는 작년 12월 전년 대비 2.6% 상승했다. 이는 연준의 물가안정 목표치인 2%를 여전히 웃도는 수준이다.

보스틱 총재는 "주택 가격이 물가지수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며 최근 수개월간 전반적인 물가 수준을 끌어올렸다"고 지적했다. 이어 "임대료는 12개월마다 갱신되는 경향이 있고 주택 거래도 많지 않아 주택 부문 물가 안정은 시간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현재 기준금리는 4.25~4.50%다. 이는 작년 9월 5.25~5.50%에서 세 차례 인하를 거친 수준이다. FOMC는 지난 1월 회의에서도 금리를 동결했다.

2017년부터 애틀랜타 연준 총재를 맡아온 보스틱 총재는 "장기적으로 경제활동을 촉진하거나 제한하지 않는 중립금리 3~3.5% 수준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다음 FOMC 회의는 3월 18~19일이다. 선물시장에서는 이 회의에서도 금리 동결 가능성을 약 85%로 전망하고 있다. 시장 참가자들과 FOMC 위원들은 올해 총 0.5%포인트 인하를 예상한다.

보스틱 총재는 "과거에는 세계 경제의 작동 방식을 정확히 이해했다고 말할 수 있었지만, 이제는 불확실성이 크게 확대됐다"며 "정책 결정을 위해 경제 지표뿐 아니라 설문조사와 현장의 목소리까지 폭넓은 정보를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