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트럼프 '미국 우선주의' 정책에 기업들 '혼란'...경제 불확실성 고조

글로벌이코노믹

트럼프 '미국 우선주의' 정책에 기업들 '혼란'...경제 불확실성 고조

관세·이민 강화로 기업 경영 차질...제조업·소매업계 비상
연방정부 감축으로 지역경제 타격 우려...AI·에너지 부문 기대감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025년 1월 23일 미국 워싱턴주 백악관 집무실에서 행정명령에 서명하고 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025년 1월 23일 미국 워싱턴주 백악관 집무실에서 행정명령에 서명하고 있다. 사진=로이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 직후 강력한 '미국 우선주의' 정책을 추진하면서 미국 경제가 혼란에 빠졌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0일(현지시각) 보도했다. 실제 관세 인상과 이민자 추방, 연방정부 감축 등으로 기업 활동이 크게 위축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인플레이션과 생활수준에 대한 유권자들의 우려 속에 당선됐지만, 양호한 경제 여건을 물려받았다. 노동부에 따르면, 2025년 1월 미국 경제는 14만3000개의 일자리를 추가했고 실업률은 4%로 하락했다. 인플레이션은 2022년 9% 정점에서 3% 수준으로 떨어졌다.

그러나 취임 이후 강력한 보호무역 정책으로 시장이 흔들리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캐나다와 멕시코에 25%, 캐나다 에너지에 10%, 중국에 1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다. 며칠 후 캐나다·멕시코 관세는 30일 유예했지만, 중국 관세는 유지했다. 이어 수입 철강과 알루미늄에 25%의 관세를 추가했다.

기업들은 공급망 재편에 나섰다. 펜실베이니아주 워민스터의 온라인 소매업체 블루 모나코의 알리시아 총 대표는 "중국 제조업체에 관세 상쇄를 위해 10% 할인을 요청했다"며 "베트남 등 대체 공급업체를 찾고 있지만 6~9개월이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이민정책 강화는 노동시장을 위축시키고 있다. 미국 종합건설업체협회의 브라이언 터메일 대변인은 "플로리다, 조지아, 텍사스, 오클라호마 등에서 이민세관단속국(ICE) 단속 우려로 노동자들이 출근하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로스앤젤레스의 식당 운영자 미겔 알파로는 "트럼프 취임 이후 매출이 약 50% 감소했다"고 밝혔다.

연방정부 감축도 지역경제를 위협하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전체 연방 인력의 10%인 24만 명을 감축하고, 1만 명이 근무하는 440억 달러 규모의 국제개발처(USAID)를 해체하겠다고 밝혔다. 어번인스티튜트의 조나단 슈와비시 연구원은 "특히 워싱턴 DC와 군사기지, 보건소가 있는 소도시의 실업률이 높아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반면 트럼프의 친기업·친화석연료 정책은 새로운 기회도 만들고 있다. 대형 기술기업들은 미국 AI 인프라 구축에 5조 달러 투자를 약속했다. 듀오스 테크놀로지스의 척 페리 최고경영자는 "50개의 데이터센터를 개발 중"이라며 "규제 완화로 더 큰 프로젝트가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스탠포드대학의 닉 블룸 교수가 개발한 정책 불확실성 지수는 팬데믹 이후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블룸 교수는 "높은 불확실성이 연구개발과 인프라 등 장기 투자를 저해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S&P500 지수는 선거 후 첫 5일간 5% 상승했으나 이후 횡보세를 보였고, 월스트리트는 인수합병(M&A) 발표 건수가 10년 만에 가장 저조한 1월을 기록했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