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發 물가상승 우려에 대형 구매 52% 영향
신용카드 부채 증가 예상 23%...소비자 불안 심화
월가 "관세가 인플레이션 자극, 연방준비제도(Fed) 금리 인하 제약 우려"
신용카드 부채 증가 예상 23%...소비자 불안 심화
월가 "관세가 인플레이션 자극, 연방준비제도(Fed) 금리 인하 제약 우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대한 우려로 미국 소비자들이 생필품 사재기에 나서고 있다고 소비자 금융정보 제공업체 크레디트카즈닷컴이 지난 19일(현지시각) 발표한 소비자 설문조사 결과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지난 1월 15일부터 2월 5일까지 미국 전역의 성인 30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크레디트카즈닷컴의 최근 조사에 따르면, 트럼프의 관세 계획이 대형 구매에 미친 영향을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22%가 '큰 영향을 받았다', 30%가 '어느 정도 영향을 받았다'고 답했다. 특히 비상식품, 화장지, 의료용품 등 생활필수품을 중심으로 구매가 급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로이터가 19일 보도했다.
주요 소매체인점들의 판매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달 비상식품 판매량이 전년 동기 대비 35% 증가했으며, 의료용품은 28%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월마트와 타겟 등 대형 소매업체들은 공급망 차질에 대비해 재고를 평소보다 20% 이상 늘리고 있다.
이번 조사에서는 소비자들의 경제 불안감도 두드러졌다. 응답자의 20%가 최근 자신의 소비 행태를 '파멸적 소비'로 인식하고 있으며, 23%는 올해 신용카드 부채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파멸적 소비'는 경제 불안, 지정학적 긴장, 금융 위기 우려 등으로 미래에 대한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과도하거나 충동적으로 소비하는 행태를 의미한다.
골드만삭스 애널리스트들은 이날 발간한 보고서에서 "관세 정책이 인플레이션을 자극해 연방준비제도의 금리 인하 가능성을 제약할 수 있다"며 "이는 경제성장 둔화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보고서는 관세 인상이 소비자물가를 최대 0.5%포인트 추가 상승시킬 수 있다고 분석했다.
월가의 한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관세는 수입품 가격 상승을 유발해 인플레이션을 부추길 수 있다"며 "수입품 가격 상승은 기업의 비용 부담 증가로 이어지고, 이는 결국 소비자 가격 인상으로 전가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특히 "외국산 원자재와 부품에 의존하는 산업의 경우, 생산 비용 증가로 인해 물가 상승 압력이 더욱 커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미국 주요 제조업체들은 이미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포춘지 선정 500대 기업 중 43%가 관세 위험에 대비한 공급망 재편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여러 기업 경영진들은 로이터와의 인터뷰에서 "관세 정책이 세계 무역을 뒤흔들 가능성이 있으며, 이에 따라 생산시설을 미국으로 이전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