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토요타, 전기차 생산목표 80만대로 하향...중국 시장서 새 기회 모색

글로벌이코노믹

토요타, 전기차 생산목표 80만대로 하향...중국 시장서 새 기회 모색

4개월 만에 두 번째 목표 조정..."수요 따라 유연하게 대응"
상하이에 독자 공장 설립, 렉서스 전기차 생산 추진
2024년 7월 18일 인도네시아 탕에랑에서 열린 인도네시아 국제 오토쇼에서 한 남자가 토요타 FT-3e 근처 바닥을 닦고 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2024년 7월 18일 인도네시아 탕에랑에서 열린 인도네시아 국제 오토쇼에서 한 남자가 토요타 FT-3e 근처 바닥을 닦고 있다. 사진=로이터

전기차 판매가 전 세계적으로 둔화하는 가운데 일본의 대표 자동차인 토요타도 생산 계획을 재조정하고 있다.

닛케이는 지난 20일(현지시각) 토요타 자동차가 2026년 전기차(EV) 생산 기준을 연간 100만대에서 80만대로 하향 조정했다고 보도했다. 2023년 9월 연간 150만대에서 100만대로 낮춘 데 이어 4개월 만에 또다시 목표를 조정한 것이다.

토요타 자동차가 제시하는 '기준'은 판매목표가 아닌 수요 발생 시 대응 가능한 생산 대수를 의미한다. 토요타 자동차의 미야자키 요이치 부사장은 "2030년까지 전기차와 배터리 부문에 5조 엔(약 47조9500억 원)을 투자할 계획이지만, 실제 수요를 보면서 유연하게 계획을 재검토할 것"이라고 밝혔다. 2030년 350만대 생산이라는 장기 목표는 현재까지 유지하고 있다.

전기차 시장의 성장세 둔화가 뚜렷해지고 있다. 유럽자동차공업회에 따르면 2024년 유럽 시장의 전기차 판매 비중은 13.6%로, 2023년 14.6%보다 1%포인트 하락했다. 특히 독일에서는 전기요금 폭등과 보조금 축소로 판매가 크게 감소했다.

반면 하이브리드차(HEV) 판매는 급증세다. 2024년 하이브리드차 판매 비중은 30.9%를 기록해 가솔린차(33.3%)를 바짝 추격했다. 이 추세가 이어지면 2025년에는 하이브리드차가 가솔린차를 제치고 1위로 올라설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의 테슬라도 성장이 정체됐다. 테슬라의 2024년 전기차 판매량은 약 179만대로 전년 대비 1.1% 감소했다. 2023년에는 전년 대비 40% 가까이 증가했던 것과 대조적이다. 중국의 비야디(BYD)는 2024년 전기차 판매가 전년 대비 12% 증가한 반면, 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 판매는 73% 급증했다.

자동차 업계 분석가는 "토요타 자동차는 전기차를 발전 도상의 기술로 보고 있으며, 생애주기평가(LCA) 기준으로는 탄소중립 달성에도 미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고 판단한다"며 "시장 데이터와 전기차에 대한 사회적 평가를 보면서 점진적으로 기준을 조정해 전기차에 소극적이라는 인상을 피하려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런 가운데 토요타 자동차는 중국 시장에서 새로운 기회를 모색하고 있다. 토요타 자동차는 상하이에 연간 생산량 약 10만대 규모의 신공장을 독자적으로 설립할 예정이다. 기존 광치(廣汽)토요타와 이치(一汽)토요타와 달리 토요타자동차가 100% 출자하는 방식이다.

토요타 자동차 관계자는 "전 세계 전기차 판매의 60% 이상이 중국에서 발생하고 있다"며 "현재 과당경쟁으로 인한 저가 경쟁으로 현지 전기차 업체들이 도태되고 있지만, 시장이 정상화되면 품질과 브랜드 경쟁력이 높은 기업이 더욱 인정받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상하이 신공장은 2027년 이후 가동을 목표로 하며, 수익성이 높은 고급 브랜드 '렉서스' 전기차를 주력으로 생산할 계획이다. 자동차 업계에서는 "시장 상황에 따라 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와 하이브리드차 생산도 검토하고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대형차에 적합한 수소연료전지차(FCV) 생산까지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는 분석이 나온다.

현재 렉서스는 주로 토요타 자동차 규슈(후쿠오카현 미야와카시) 공장에서 생산돼 중국으로 수출되고 있다. 상하이 공장 가동 시 이 수출 물량만큼 일본 내 생산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토요타 자동차의 2024년도 전기차 판매 예상치는 15만대를 밑돌 것으로 전망된다. 자동차 업계에서는 2년 만에 전기차 판매량을 5배 이상 늘린다는 계획이 지나치게 낙관적이라는 평가가 나오고 있으며, 추가적인 목표 하향 조정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