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트럼프發 자산 엑소더스?...美 부유층, 스위스행 러시

글로벌이코노믹

트럼프發 자산 엑소더스?...美 부유층, 스위스행 러시

개인 은행가들 "자산 이전 문의 폭증"...트럼프 정책 변화 우려 확산
금융 전문가 "불확실성 싫어...안전 자산 선호 심리 반영"
미국 부유층 사이에 스위스 은행으로 자산을 옮기려는 움직임이 두드러지고 있다. 개인 은행가들은 자산 이전 문의가 폭증했다고 입을 모으고 있으며, 금융 전문가들은 이러한 현상이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변화에 대한 불확실성과 안전 자산을 선호하는 심리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마치 '자산 엑소더스'를 연상케 하는 미국 부유층의 스위스행 러시가 금융 시장의 새로운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미국 부유층 사이에 스위스 은행으로 자산을 옮기려는 움직임이 두드러지고 있다. 개인 은행가들은 자산 이전 문의가 폭증했다고 입을 모으고 있으며, 금융 전문가들은 이러한 현상이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변화에 대한 불확실성과 안전 자산을 선호하는 심리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마치 '자산 엑소더스'를 연상케 하는 미국 부유층의 스위스행 러시가 금융 시장의 새로운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사진=로이터

미국과 해외의 부유층들이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불확실성을 우려하며 스위스로 자산 이동을 위한 비상 계획을 적극적으로 수립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지난 24(현지시각) 보도했다.

금융권에 따르면 개인 은행가, 복합 자산 관리 사무소, 자산 관리 그룹 등은 특히 미국 세법을 준수하는 스위스 기반 은행 및 투자 계좌 개설 문의가 상당 폭 증가했다고 전했다.

해외 거주 미국인 대상 자산 관리 회사인 마세코(Maseco)의 공동 창립자 조시 매튜스는 "미국 은행 파산 공포가 컸던 금융 위기 이후 이례적인 관심"이라며, "현재 상황은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 불확실성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익명을 요구한 한 자산 관리 담당 변호사는 "현재 고액 자산가인 미국인 가족의 500만 달러(73억 원)에서 1000만 달러(146억 원)에 달하는 자산을 스위스로 이전하는 작업을 돕고 있다"고 밝혔다.

'트럼프 리스크' 현실로...자산 이동 움직임 포착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스위스의 중립성을 둘러싼 논란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움직임은 스위스가 여전히 국제 금융 중심지로서 강력한 입지를 유지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스위스는 국경 간 자산 관리 분야에서 여전히 세계적인 선두 주자다.

취리히 소재 알펜 파트너스(Alpen Partners)의 설립자 겸 매니징 파트너인 피에르 가브리스는 "미국인들의 거주지 및 자산 투자처에 대한 문의가 쇄도하고 있다"고 말했다.

스위스는 오랜 기간 정치적 중립을 지켜왔으며, 강력한 금융 비밀 보호법과 안정적인 경제 시스템을 자랑한다. 마세코의 매튜스는 "스위스는 안전하고 안정적인 곳으로 인식된다", "고객들은 미국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상황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 스위스 은행, '안전 피난처' 입지 굳건


이번 자금 이동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폭탄' 발언 번복 또는 연기 등에서 나타나듯 정책 불확실성에 대한 우려를 반영한다. 트럼프 대통령은 과거 무역 관세 부과, 규제 완화, 세금 감면 등을 공약한 바 있다. 이는 금융 시장의 변동성을 확대하고 일부 투자자들에게 불확실성을 증폭시킬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한 자산 관리 변호사는 "사람들은 불확실성을 싫어한다""트럼프 행정부가 들어선 후 어떤 일이 벌어질지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에 안전한 곳으로 자산을 옮기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스위스 은행들은 이러한 추세에 발맞춰 미국 고객 대상 서비스를 강화하고 있다. 주요 스위스 은행들은 미국 시장 진출에 적극적으로 나서며, 미국 고객의 자산 유치를 위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다만, 스위스로의 자산 이전이 모든 미국인에게 적합한 선택은 아니다. 미국 시민권자와 거주자는 해외 자산에 대해 미국 세금을 납부해야 하며, 스위스 은행 계좌를 포함한 특정 해외 금융 계좌는 미국 국세청(IRS)에 반드시 신고해야 한다.

한편, 스위스 은행의 비밀주의는 과거 탈세 및 자금 세탁의 온상이라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하지만 스위스는 최근 몇 년간 국제 사회의 압력에 따라 금융 투명성을 높이는 조치를 꾸준히 시행해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부유한 미국인들은 여전히 스위스를 안전하고 안정적인 자산 보관처로 인식하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의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한, 이러한 자금 이동 현상은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