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인도 증시 '냉기'에 LG전자 IPO '몸값' 30%↓…17억 달러 '조달' 목표

글로벌이코노믹

인도 증시 '냉기'에 LG전자 IPO '몸값' 30%↓…17억 달러 '조달' 목표

주식시장 침체에 LG전자 인도법인, 기업공개 평가액 대폭 하향 조정
'코리아 디스카운트' 극복 노렸지만…시장 변동성에 '제동'
인도 증시의 차가운 기류 속에 LG전자 인도법인의 기업공개(IPO) '몸값'이 당초 예상보다 30%나 낮아질 전망이다. 주식 시장 침체가 장기화하면서 LG전자 인도법인은 IPO 평가액을 대폭 하향 조정하기로 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인도 증시의 차가운 기류 속에 LG전자 인도법인의 기업공개(IPO) '몸값'이 당초 예상보다 30%나 낮아질 전망이다. 주식 시장 침체가 장기화하면서 LG전자 인도법인은 IPO 평가액을 대폭 하향 조정하기로 했다. 사진=로이터
최근 인도 증시의 침체 속에서 LG전자 인도법인의 기업공개(IPO) 평가액이 당초 예상보다 낮아질 가능성이 제기됐다.

27일(현지시각) 굿 리턴즈의 보도에 따르면 LG전자 인도법인은 IPO 평가액 범위를 105억 달러(약 15조3877억 원)에서 115억 달러(약 16조8475억 원) 사이로 재조정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기존 예상했던 150억 달러(약 21조9825억 원)와 비교하면 현저히 낮은 수준이다.

이러한 평가액 하향 조정은 최근 인도 증시의 변동성 확대와 투자 심리 위축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시장에서는 평가액 하향 조정에도 불구하고 LG전자 인도법인이 IPO를 통해 최대 17억 달러(약 2조4905억 원)의 자금을 조달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이는 당초 예상했던 조달 규모보다 오히려 늘어난 수치다.

◇ 탄탄한 실적에도 '흔들'…인도 증시, 변동성 확대


LG전자 인도법인은 최근 인도 증권거래위원회(SEBI)로부터 1500억 루피(약 2조5110억 원) 규모의 기업공개(IPO) 승인을 받았다. 이번 IPO에서는 LG전자 본사가 보유한 지분 1억 180만 주, 즉 전체 지분의 약 15%를 매각할 예정이다. 예상 공모 규모는 약 18억 달러(약 2조6370억 원)이며, 주당 액면가는 10루피다. 당초 예상했던 IPO 조달액은 10억 달러(약 1조4650억 원)에서 15억 달러(약 2조1975억 원) 사이였고, 이를 기준으로 인도 법인의 평가액은 약 130억 달러(약 19조450억 원)로 추정됐다. IPO가 완료되면 LG전자 본사의 인도 법인 지분은 5억7690만 주로 줄어든다.

LG전자 인도법인은 제출 서류에서 "IPO를 통해 브랜드 이미지를 높이고 시장 인지도를 개선하며 주식 유동성을 확보할 것"이라고 밝혔다. IPO로 조달된 자금은 인도 법인의 사업 확장에는 사용되지 않으며, 전액 LG전자 본사로 이전될 예정이다. 이번 IPO는 모건 스탠리, JP모건, 액시스 캐피탈, 뱅크오브아메리카 증권, 씨티 등 유수의 금융 기관들이 주관한다.

◇ '코리아 디스카운트' 극복은 '글쎄'…인도 증시 상장, '양날의 검'


LG전자가 인도 법인을 상장하는 것은 '코리아 디스카운트' 현상을 해소하기 위한 전략의 일환으로도 해석된다고 굿 리턴즈는 분석했다. '코리아 디스카운트'는 한국 기업들이 국내 증시에서 저평가받는 현상을 의미한다. LG전자는 인도 증시에 상장함으로써 기업 가치를 제대로 평가받고 주주 이익을 극대화하고자 한다. 만약 IPO가 성공적으로 마무리되면, LG전자 인도법인은 현대자동차에 이어 인도 증시에 상장하는 두 번째 한국 대기업이 된다.

LG전자 인도법인은 인도 가전 및 전자제품 시장에서 확고한 입지를 다지고 있다. 2024 회계연도에는 151억1100만 루피(약 2583억 원)의 순이익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12.35% 성장했고, 매출 역시 2조1352억 루피(약 36조5119억 원)로 7.48% 증가했다. 이러한 탄탄한 실적은 최근 증시 변동성에도 불구하고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 수 있는 요인이다.

이번 IPO의 성공 여부는 인도 증시뿐 아니라 한국 기업들의 해외 상장 전략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투자자들은 LG전자가 어려운 시장 환경을 어떻게 극복하고 인도 시장에서의 성장세를 이어갈지 주목하고 있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