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 보고서 "지속 가능한 해양 경제를 위한 국제 공조 절실" 강조
기후변화·투자 부족 등 복합 위협...2050년 20% 감소 가능성 경고
기후변화·투자 부족 등 복합 위협...2050년 20% 감소 가능성 경고

보고서는 해양 경제가 1995년 1조 3000억 달러(약 1911조 원)에서 2020년 2조 6000억 달러(약 3822조 원)로 실질적으로 두 배 성장했다고 분석했다. OECD는 보고서를 통해 해양 경제의 장기적인 번영과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각국의 조율된 정책적 노력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보고서는 경제적 기회와 환경적 책임의 균형을 맞추면서 미래 해양 경제의 회복력과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정책 결정자들의 주요 과제를 제시했다.
◇ 성장 뒤 숨겨진 위협...20% 감소 가능성 경고
지난 25년간 해양 경제는 해양 석유 및 가스, 해양 및 연안 관광, 해양 어업 및 양식업, 해상 운송 및 항만 활동을 중심으로 성장하며 전 세계 총 부가가치의 3~4%를 꾸준히 기여해 왔다. 그러나 보고서는 기후 변화, 인구 변화, 무역 차질, 생산성 및 녹색 에너지 투자 부족 등 다양한 요인들이 향후 해양 경제 성장을 둔화시키거나 심지어 후퇴시킬 수 있다고 경고했다.
특히 생산성 투자가 부진하고 에너지 전환이 지연될 경우, 금세기 중반에는 전 세계 해양 경제 활동이 2020년 수준보다 약 20% 감소할 수 있다는 암울한 전망을 내놓았다. 반면, 기술 혁신과 함께 청정 에너지로의 전환이 가속화된다면 과거보다는 낮은 수준일지라도 해양 경제의 지속적인 성장을 기대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마티아스 코먼 OECD 사무총장은 "해양 정책과 국제 협력을 개선하는 것은 경제적으로 반드시 필요한 일"이라며 "과학 기반 정책, 해양 공간 관리 개선, 혁신적인 디지털 솔루션을 통해 해양에 생계를 의존하는 수억 명의 일자리, 삶, 식량 안보를 지킬 수 있다"고 강조했다.
OECD는 지난 10년간 국내외적으로 해양 및 해양 경제를 규제하는 정책 체계가 강화되어 왔다고 평가했다. 국가 해양 전략, 해양 공간 계획, 해양 경제 통계, 생물 다양성·기후변화·어업·해운 탈탄소화 관련 국제 협상 등이 대표적인 사례다. 하지만 시장 집중 심화와 불법 활동과 같은 중요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책 결정자들의 더욱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 지속 가능한 미래 위한 정책 제언
보고서는 해양 관리 강화를 위한 정책적 조치 및 협력 강화, 화석 연료로부터의 에너지 전환 가속화, 첨단 디지털 기술 및 데이터 수집 시스템 도입 등을 주요 정책 권장 사항으로 제시했다. 또한, 개발도상국과의 해양 경제 협력 심화, 해양 경제 활동의 혜택을 삶의 질 향상에 최대한 활용, 취약한 해양 생태계의 보존·지속 가능한 이용·복원 촉진 등을 촉구했다.
이번 분석은 국가 간 산업 연관표(Inter-Country Input-Output, ICIO)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한 OECD의 새로운 계산을 통해 이루어졌다. 이를 통해 해양 경제가 전 세계 번영에 기여하는 바를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보고서는 과거 생산성 추세를 바탕으로 2050년까지의 잠재적인 해양 경제 성장 시나리오를 예측했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