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백악관, 24개국 대상 차등 관세율 발표... 영국·브라질 등 7개국은 10% 최저율
미국 백악관이 주요국을 대상으로 한 '상호적' 관세 부과 계획을 발표했다고 3일(현지시각) FT가 보도했다. 이번 관세 부과 계획은 해당 국가들이 미국 상품에 부과하는 관세율에 절반 수준으로 대응하는 방식이다.백악관이 제공한 자료에 따르면, 중국은 미국 상품에 67%의 관세를 부과하고 있으며, 이에 미국은 34%의 '상호적' 관세를 부과할 계획이다. 유럽연합(EU)에는 20%, 베트남에는 46%, 대만에는 32%, 일본에는 24%, 한국에는 25%의 관세가 각각 적용된다.

◇ 국가별 관세율 세부 내역
백악관 추산에 따르면, 베트남과 캄보디아는 미국 상품에 각각 90%와 97%의 고율 관세를 부과하고 있어, 미국은 이들 국가에 46%와 49%의 상호적 관세를 부과할 예정이다.
인도(52%→26%), 한국(50%→25%), 태국(72%→36%), 스위스(61%→31%), 인도네시아(64%→32%), 말레이시아(47%→24%), 방글라데시(74%→37%), 스리랑카(88%→44%)에도 해당 관세율의 절반 수준이 적용된다.
반면 영국, 브라질, 싱가포르, 칠레, 호주, 튀르키예, 콜롬비아 등 7개국에는 10%의 낮은 관세율이 적용될 예정이다. 이스라엘과 필리핀에는 각각 17%의 관세가 부과된다.
◇ 무역 불균형 해소 목적
이번 관세 부과 계획은 미국이 교역국들과의 무역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한 조치라는 입장이다. 특히 중국, 베트남, 캄보디아 등 미국 상품에 고율의 관세를 부과하는 국가들을 대상으로 상호적 관세 원칙을 적용한 것이 특징이다.
백악관은 이번 관세 부과가 공정 무역 원칙에 기반한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으며, 미국 상품에 대한 높은 관세가 미국 기업과 노동자들에게 불리한 무역 환경을 조성한다는 입장이다.
각국 정부와 글로벌 기업들은 이번 관세 부과 계획이 세계 무역에 미칠 영향을 주시하고 있으며, 향후 해당 국가들의 대응 방안에도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