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 교도통신 등 현지 언론에 따르면 이시바 총리는 이날 요미우리TV 프로그램에 출연해 "어떻게 하면 미국의 고용을 만들고 일본의 이익이 되는지를 이야기하고자 한다"며 "내주 중에는 (전화 협의를) 하고 싶다"고 말했다.
그는"최종 결정은 트럼프 대통령밖에 할 수 없다"면서도 "양국 정상 간에 관세 문제에 대해 직접 교섭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시바 총리는 "일본 정부가 교섭에서 제시할 구체적인 방안도 준비하고 있다"며 "하나의 세트나 패키지 등으로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이번 조치로 트럼프 행정부에 대한 불쾌감을 드러내는 것은 최대한 자제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이시바 총리는 "모든 선택지는 있지만 폭언을 폭언으로 응수하는 식은 할 생각이 없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 4일 이시바 총리는 국회에 출석해 상호관세에 어떻게 대응할 것이란 이마이 마사토 입헌민주당 의원의 질문에 "보복관세나 세계무역기관(WTO) 등 무엇이 가장 효과적일지를 검토해 나가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일본이 보복관세까지 거론하는 배경에는 다양한 경로를 통해 합리적인 관세를 부과해달라는 외교적 노력을 기울였음에도 외려 뒤통수만 맞았다는 자성이 나오고 있어서다. 트럼프가 일본에 매긴 상호관세율은 24%다.
정성화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sh122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