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행정부 내부서 관세 전략 수정 움직임, 월가 불확실성 커져 다우 1700포인트 급락 사태
트럼프 지지율도 하락세...기업가는 물론 중산층과 저소득층, 지지층에서도 불만 커져
트럼프 지지율도 하락세...기업가는 물론 중산층과 저소득층, 지지층에서도 불만 커져

베선트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전략의 최종 목표가 협상임을 강조하지 않는 한 시장은 "계속 녹을 것"이라고 경고했다고 폴리티코는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이는 트럼프 행정부 고위 관료가 트럼프의 무역 정책 수정을 시도한 첫 사례로 알려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일 모든 수입품에 10%의 '기본 관세'를 부과하고, 약 60개국에 대해 '할인된 상호 관세'를 적용할 계획을 발표했다. 이 관세 계획에 따르면 중국(34%), 유럽연합(20%), 한국(25%), 일본(24%), 대만(32%), 인도(26%) 등 주요 교역국들이 높은 관세율에 직면하게 된다.
폴리티코 보도에 따르면, 베선트 장관의 조언은 트럼프 대통령이 "해방의 날"이라고 부른 새 관세 발표 이후 약 50개국이 미국 정부에 연락을 취한 상황에서 이루어졌다. 재무장관은 대통령에게 관세를 미국을 위한 더 나은 거래와 일자리 창출로 이어질 수단으로 강조할 것을 제안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관세 정책에 대해 엇갈린 메시지를 보내고 있다. 베선트 장관이 일본과의 협상을 발표한 같은 날, 피터 나바로 무역고문은 파이낸셜 타임스에 "협상 없음" 입장을 강화하는 발언을 했다. 트럼프 대통령도 "영구 관세"와 "협상"을 동시에 언급해 혼란을 가중시켰다.
이런 불확실성 속에 월스트리트는 강한 변동성을 보였다. 6일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거래 중 1,700포인트가량 급락한 뒤 349포인트(0.9%) 하락으로 마감했다. S&P 500 지수는 0.2% 하락했고, 나스닥 지수는 0.1% 상승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7일 기자들에게 "우리와 협상하러 오는 많은 나라들이 있고, 그것들은 공정한 거래가 될 것이다. 이러한 관세 중 일부는 영구적일 것이고 일부는 협상의 대상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폴리티코에 "이러한 관세 중 일부는 영구적일 것이고 일부는 협상의 대상이 될 수 있다. 그렇다고 대통령이 계약을 성사시키겠다는 뜻은 아니지만, 기꺼이 거래할 의향이 있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베선트 장관은 지난 7일 폭스 비즈니스 인터뷰에서 "보복하지 않는 나라에 대해서는 최대 관세 수준에 있다. 좋은 협상을 통해 수치가 내려가는 것만을 볼 수 있기를 희망한다. 협상은 힘들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7일 트루스 소셜에 "세계 각국이 우리에게 말을 걸고 있다. 엄격하지만 공정한 매개변수가 설정되고 있다. 같은 날(7일) 아침 일본 총리와 통화했다. 그는 협상을 위해 최고의 팀을 보내고 있다! 그들은 무역에서 미국을 매우 형편없이 대우해 왔다. 모든 것이 바뀌어야 하지만, 특히 중국의 경우에는 더욱 그렇다!!" 라고 글을 올렸다.
베선트 장관은 외국과의 협상이 6월까지 계속될 수 있으며,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이 논의에 관여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새로운 "상호적" 관세는 9일부터 발효될 예정이어서 미국과 협상을 원하는 국가들에게 시급성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이런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의 지지율은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이 의뢰해 토니 파브리지오와 존 안잘론이 실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트럼프의 직무 수행 지지율은 46%로, 반대 51%보다 낮았다. 이 조사는 3월 27일부터 4월 1일까지 등록 유권자 1,500명을 대상으로 실시됐으며 오차 범위는 ±2.5%포인트였다.
특히 트럼프의 관세 정책에 대해서는 54%가 반대, 42%만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로이터/입소스 여론조사에서도 트럼프의 지지율은 43%로, 재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안잘론은 월스트리트저널에 "미국 유권자들은 대통령에게 처음에는 약간의 유예기간을 준다. 그들은 경제정책과 관세에 높은 불안감을 가질 수 있으나, 기다려 보고 싶다고 말할 수도 있다"고 분석했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7일 트루스 소셜을 통해 "유가는 하락했고, 금리는 하락했으며, 식량 가격은 하락했고, 인플레이션은 없다"며 "미국은 이미 시행 중인 관세로 매주 수십억 달러를 벌어들이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관세 철회 가능성에 대해서도 각국이 미국과의 무역을 중단하지 않는 한 철회하지 않을 것이라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