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 "끝까지 싸울 것" 경고...글로벌 공급망 연쇄 충격 우려

파이낸셜타임스(FT)의 9일(현지시각) 보도에 따르면,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새로운 관세가 미 동부 시간으로 9일 "오전 12시 1분(한국시간 9일 오후 1시 1분)에 발효될 것"이라고 밝혔다.
레빗 대변인은 "미국이 펀치를 맞았을 때, 대통령은 더 세게 반격한다"며 "이제 중국에 104% 관세가 부과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이 협상을 위해 손을 내민다면 믿을 수 없을 정도로 관대하겠지만, 중국이 먼저 전화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번 추가 관세는 트럼프 대통령이 앞서 발표한 "상호적" 관세에 대한 보복으로 미국 상품에 34%의 관세를 부과한 중국의 조치에 대응한 것이다. 트럼프 행정부는 중국이 이 관세를 철회하라는 미국의 요구를 거부한 후 새로운 세금을 추진하게 됐다.
중국 상무부 대변인은 지난 8일 트럼프의 조치에 대해 "자국의 권리와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단호하게 대응 조치를 취할 것"이라며 "만약 미국이 자기 길을 고집한다면, 중국은 끝까지 싸울 것"이라고 경고했다.
◇ 미·중 무역 갈등 심화... 글로벌 경제 위협
미국 무역대표부에 따르면, 미국은 2024년 중국과의 무역적자가 2950억 달러(약 438조 원)에 달한다. 이번 관세 인상으로 세계 최대 수출국인 중국은 트럼프의 세계 무역전쟁에서 가장 큰 불이익을 입는 국가가 됐다.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 대표는 "일본과 한국은 트럼프 행정부와 회담을 가졌지만, 중국은 무역 회담에 참여할 의사가 있다는 신호를 보내지 않았다"고 지난 8일 미 의회에서 밝혔다.
그리어 대표는 "다른 나라들은 호혜주의에 대한 진로를 찾고 싶다는 신호를 보냈다. 중국은 그런 말을 하지 않았고, 우리는 그것이 어디로 가는지 지켜볼 것"이라며 "우리가 가장 가까운 친구들과 협력하여 효과적인 거래 협정을 마련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월 자신의 무역팀에게 중국과의 무역 관계를 검토하라고 지시했으며, 그리어 대표는 중국이 트럼프의 첫 번째 임기 동안 타결된 제한적 무역 협정의 조건을 준수하지 않았다고 결론지었다.
이번 추가 관세는 지난주 트럼프가 발표한 10%의 보편적 관세와 함께 글로벌 주식시장에 혼란을 불러일으켰고, 세계적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를 높이고 있다. 지난 8일 주식시장은 초반 랠리를 보였으나, 백악관이 중국에 대한 새로운 관세를 강행할 것이라고 밝히면서 상승세가 주춤했다.
◇ 중국, 위안화 절하로 대응... 세계 경제 충격 우려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은 지난 8일 CNBC와의 인터뷰에서 중국의 무역전쟁 긴장 고조를 "큰 실수"라고 비판했다. 베선트 장관은 "중국이 우리에게 관세를 인상함으로써 우리가 잃는 것은 무엇인가? 우리는 그들이 우리에게 수출하는 것의 5분의 1을 그들에게 수출하기 때문에 그것은 그들에게 손해"라고 강조했다.
베선트 장관은 일본이 미국과 협상하기 위해 "매우 신속하게 나섰기 때문에 최우선 순위를 갖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일본 증시는 상승세를 보였고, 벤치마크인 토픽스(TOPIX)는 6.3% 상승 마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8일 자신의 트루스 소셜 플랫폼에 한국 대통령 권한대행과 관세에 대해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
중국은 위안화 환율을 2023년 9월 이후 가장 낮은 달러당 7.20위안으로 고정함으로써 보복 조치를 시작했다. 이는 트럼프의 관세를 상쇄하기 위해 위안화를 절하할 수 있다는 신호로 해석된다. 미국에서는 8일 정오가 되자 자유롭게 거래되는 역외 위안화가 달러당 7.38위안으로 사상 최저치를 기록했다.
ING 중화권 수석 이코노미스트인 린 송은 "베이징이 물러설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누가 먼저 눈을 깜빡이느냐의 문제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한편, 인민대학교의 정부 고문이자 교수인 스인홍은 미중 무역이 "대부분 파괴"되었지만, 중국의 강경한 접근법은 변할 것 같지 않다고 말했다. 스인홍 교수는 "중국은 트럼프의 관세 전쟁에 대응해 유일하게 강경하고 단호한 입장을 취한 세계 유일의 국가"라며 새로운 글로벌 무역 패러다임이 "중국에 극도로 불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고 FT는 전했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