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트럼프, IMO 탄소 협상 '보이콧'...해운 탈탄소화 전선 '균열'

글로벌이코노믹

트럼프, IMO 탄소 협상 '보이콧'...해운 탈탄소화 전선 '균열'

미국 "탄소세 부과 즉시 보복"...글로벌 해운 정책 '강 대 강' 대치
IMO, 2050 탄소 중립 목표 차질 불가피...국제사회 공동 대응 시험대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국제해사기구(IMO)의 해운 탈탄소화 협상에서 갑작스럽게 발을 빼며 해운 산업의 친환경 전환에 심각한 차질이 예상된다. 특히 미국은 자국 선박에 탄소세 등 경제적 부담이 가해질 경우 강력한 보복을 경고하며 IMO의 2050년 탄소 중립 목표 달성에 적신호가 켜졌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국제해사기구(IMO)의 해운 탈탄소화 협상에서 갑작스럽게 발을 빼며 해운 산업의 친환경 전환에 심각한 차질이 예상된다. 특히 미국은 자국 선박에 탄소세 등 경제적 부담이 가해질 경우 강력한 보복을 경고하며 IMO의 2050년 탄소 중립 목표 달성에 적신호가 켜졌다. 사진=로이터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국제해사기구(IMO)의 해운 탈탄소화 협상에서 전격 철수하며 국제 사회에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특히 미국은 자국 선박에 탄소 배출량에 따른 세금 등 경제적 부담을 주는 조치가 시행될 경우 즉각적인 보복에 나서겠다는 강경한 입장을 표명, IMO의 탄소 감축 노력에 심각한 난관이 예상된다고 트레이드윈즈가 지난 8(현지시각) 보도했다.

이번 결정은 IMO 해양환경보호위원회(MEPC)가 오는 주말까지 해운 부문의 탈탄소화를 위한 구체적인 정책 합의를 목표로 런던에서 고위급 회의를 진행 중인 가운데 나왔다.

트레이드윈즈가 입수한 외교 메시지에 따르면 미국은 "해운 부문의 탈탄소화를 목표로 하는 어떠한 경제적 조치에도 반대하며, 미국 선박에 부과되는 어떠한 불균형하거나 차별적인 수수료에 대해서도 보복할 것"이라고 명확히 밝혔다. 다만, 미국은 IMO 내에서 '기술적이고 운영적인 조치'에 대한 논의에는 계속 참여할 것이라는 여지를 남겼다.

IMO 탄소 중립 목표 달성 '경고등'


해운 강국 중 하나인 미국의 이번 협상 철수는 2050년까지 국제 해운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순 제로(Net-Zero)로 만들겠다는 IMO의 야심찬 목표 달성에 심각한 차질을 초래할 것으로 보인다. IMO는 그동안 탄소 배출량에 따른 탄소세 부과, 친환경 연료 사용 의무화 등 다양한 시장 기반 정책 옵션을 논의해 왔다.

이미 기후 변화에 대해 회의적인 태도를 견지해 온 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결정은 국제 사회의 탄소 감축 노력에 찬물을 끼얹는 행위로 해석될 수 있다. 더군다나 미국은 과거 파리 기후 협정에서 탈퇴한 전례가 있어 이번 IMO 협상 보이콧 결정에 대한 국제 사회의 우려가 더욱 커지고 있다.

현재까지 다른 국가들의 공식적인 입장은 발표되지 않았으나, 해운 산업의 탈탄소화를 시대적 과제로 인식하는 대다수 국가들은 미국의 이번 결정에 대해 깊은 유감을 표명할 것으로 예상된다. IMO는 당초 이번 주말까지 구체적인 탄소 감축 정책을 확정할 계획이었으나, 미국의 갑작스러운 협상 중단으로 인해 향후 논의 과정에 상당한 난항이 예상된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