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악관 "70개국과 협상 진행 중"...월가는 "인플레이션 증가 가능성 높아" 경고

지난 8일(현지시간) 뉴스위크 보도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는 이러한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관세 정책이 단기적 고통에도 불구하고 미국 경제를 장기적으로 강화할 것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 관세로 인한 물가상승 우려... 73%가 가격 인상 예상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주 '해방의 날'이라고 명명한 행사에서 모든 수입품에 10%의 기본 관세를 부과하고, 특정 국가에 대해서는 추가 관세를 적용하는 계획을 발표했다. 이는 미국 북부와 남부 국경에서 펜타닐이 캐나다로 유입된다는 주장에서 비롯됐으며, 캐나다, 중국, 멕시코에 대한 관세 위협으로 이어졌다.
4월 4일부터 6일까지 미국 성인 1,027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로이터/입소스 여론조사 결과, 미국인 전체의 57%가 관세 정책에 반대하는 반면 39%만이 찬성했다. 특히 관세로 인한 경제적 영향에 대해서는 미국인의 73%가 물가상승을 예상했고, 단 4%만이 가격이 하락할 것으로 예측했다.
공화당원 중에 73%가 관세를 지지했지만, 24%는 이를 비판했다. 무소속 유권자들은 57%가 반대, 41%가 찬성해 관세에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여론조사의 오차범위는 약 3%였다.
"단기적인 경제적 고통은 장기적으로 미국을 더 강하게 만들기 위해 그만한 가치가 있다"는 질문에 응답자의 절반이 동의했으며, 대부분 공화당원이 포함됐다. 주로 민주당원으로 구성된 나머지 절반은 이에 동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관세 발표 이후 월스트리트는 5년 만에 최악의 한 주를 경험했으며, 경제학자들은 상황이 개선되지 않을 경우 경기 침체 가능성을 경고했다.
◇ "다우지수 50,000 보장"...백악관 측근들의 낙관론
이런 우려에도 불구하고 백악관 선임고문 피터 나바로는 트럼프의 관세가 미국 경제를 불황으로 몰아넣을 것이라는 주장을 일축했다. 나바로는 지난 7일 폭스 뉴스 진행자 로라 잉그레이엄과의 인터뷰에서 "나는 경기 침체가 없다고 장담한다. 왜냐하면, 우리가 몇 달 안에 역사상 가장 크고 광범위한 감세안을 통과시킬 때, 그것은 큰 자극제가 될 것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나바로는 트럼프의 감세 계획으로 인플레이션이 0으로 떨어질 것이라고 예측하면서, 다우존스 지수가 현재 39,000에서 29% 상승한 50,000포인트에 도달할 것이라고 장담했다. 또한 "S&P 500 기업들이 이곳에서 가장 먼저 생산할 것이고, 그것들은 회복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도 "경기 침체가 있을 필요는 없다"며 "시장이 하루, 일주일 후에 어떻게 반응할지 누가 알겠는가, 그리고 우리가 갖게 될 것은 번영을 위한 장기적인 펀더멘털"이라고 NBC 뉴스에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 자신도 지난 7일 대통령 집무실에서 "우리나라가 판을 재설정해야 할 유일한 기회"라며 "나는 마지막에 아름다운 그림을 보기 때문에 그것을 겪는 것을 꺼리지 않는다"고 말했다.
◇ 금융권 "인플레이션 상승·경기침체 가능성 높아" 경고
그러나 JP모건의 제이미 다이먼 CEO는 지난 7일 주주들에게 보낸 연례 서한에서 상호 관세가 "인플레이션을 증가시킬 가능성이 높으며, 많은 사람들이 경기 침체의 더 큰 가능성을 고려하게 만들고 있다"고 경고했다.
미국 상원은 최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감세 및 지출 삭감 제안에 부합하는 예산 프레임워크를 승인했다. 이 프레임워크는 2017년 감세를 영구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연방 기관과 사회 프로그램에 대한 상당한 지출 삭감감과 함께 연방 부채 한도를 5조 달러 상향 조정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그러나 하원에서 몇몇 공화당 의원들은 이미 이 제안에 우려를 표명했다.
한편, 베센트 재무장관은 "거의 70개국"이 "세계 무역의 재균형을 돕기를" 희망하며 행정부에 접근했다고 밝혔다.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도 지난 7일 백악관 방문 중 미국과의 무역 흑자(약 74억 달러)를 없애겠다는 약속을 했으나, 트럼프 대통령은 이것이 9일부터 시행 예정인 17% 상호 관세 면제로 이어질지는 명확히 밝히지 않았다.
LPL 파이낸셜의 최고투자책임자(CIO) 마크 자비키는 뉴스위크와의 인터뷰에서 "미국은 관세 기준을 정하고 영향을 받는 국가들을 협상 테이블로 나오도록 강요했다. 이를 협상 101이라고 부른다"고 설명했다.
모든 글로벌 수입품에 대한 10% 기본 관세는 지난 5일부터 발효됐으며, 국가별 상호 관세는 9일(현지시각)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중국은 미국에 부과된 관세를 되돌릴 수 있는 기한을 놓쳐 9일부터 상품에 대한 104%의 관세를 부과해야 하는 상황이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