틱톡 통한 모집에 3400만 원 보수... 베이징 "공식 참전 아냐" 부인

우크라이나가 러시아군으로 참전한 중국인 군인 2명을 생포했다고 발표하면서 중국의 우크라이나 전쟁 개입 여부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는 수개월 전 우크라이나가 북한이 러시아 쿠르스크 지역에서 싸우기 위해 수천 명의 군인을 보냈다고 주장한 이후 또 다른 외국 군사력 개입 사례로 주목받고 있다.
뉴스위크는 지난 12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당국이 공개한 중국인 군인 심문 영상을 분석하며 중국의 러시아 지원 실태를 보도했다. 이에 따르면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자국군이 최근 공격에서 중국 전사 6명을 발견했으며, 지난 8일 도네츠크 지역에서 2명을 생포했다고 밝혔다.
우크라이나 당국은 이들의 신분증과 은행 카드를 증거로 제시하며, 한 명은 러시아 제157 차량화소총여단 2대대, 다른 한 명은 제81차량화소총여단 1대대 소속이라고 밝혔다. 키이우는 즉각 중국 외교관을 소환해 해명을 요구했으며, 미국 국무부는 중국 국적자들의 개입이 "충격적"이라고 반응했다.
◇ 관광객으로 입국해 군사계약... 돈에 현혹된 용병인가 공식 지원인가?
키이우가 공개한 심문 영상에 따르면 생포된 한 군인은 지난해 12월 관광객으로 러시아에 입국한 뒤 200만 루블(약 3400만 원)을 지급하겠다는 모집 광고에 응했다고 진술했다. 프랑스 일간 르 몽드는 많은 용병들이 단순 관광객으로 러시아에 입국한 뒤 1년 갱신 계약에 서명했다고 보도했다.
이에 대해 안드레이 루덴코 러시아 외무부 차관은 타스 통신을 통해 "이것은 완전한 거짓말이다. 중국은 우크라이나 정착촌에 대해 매우 균형 잡히고 검증된 입장을 취하고 있으며, 이에 대해 친구들에게 감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중국 외교부 역시 성명을 통해 "중국 정부는 국민들에게 무력 분쟁 지역에 접근하지 말고, 어떤 형태의 개입도 피하며, 특히 어떤 당사국의 군사 작전에도 참여하지 말 것을 항상 요청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미국 정보부에 정통한 두 명의 미국 관리와 전직 서방 정보 관리는 로이터 통신에 중국 시민들이 정부와 무관한 용병일 가능성이 높지만, 중국군 장교들이 전쟁에서 전술적 교훈을 얻기 위해 베이징의 승인 하에 러시아 전선 뒤에서 활동하고 있다고 전했다.
◇ 중국의 이중 행보... "공식적 중립" 속 러시아 지원 지속
중국은 전쟁에 대해 공식적으로는 중립을 지키고 있지만, 푸틴이 우크라이나를 전면 침공한 이후 러시아에 강력한 외교적 지원을 제공해왔으며, 무기 제조에 사용할 수 있는 이중 용도 기계와 마이크로 일렉트로닉스를 판매해왔다고 뉴스위크는 전했다.
우크라이나 퇴역 군인이자 '우크라이나 전쟁 분석(Ukraine Decoded)' 뉴스레터를 운영하는 분석가 빅토르 코발렌코는 뉴스위크와의 인터뷰에서 "중국인 체포가 중요하기는 하지만 중국이 전쟁에 더 직접적으로 개입했다는 결정적 증거는 아니다"라며 "우리는 이미 전선에서 다른 외국 용병들이 생포되거나 살해되는 것을 봤으며, 양측이 모두 그들을 모집하고 있다"고 말했다.
코발렌코는 또한 "러시아를 위해 싸우는 중국인이 150명이라고 해도 그 숫자는 전쟁에 참여한 수천 명의 북한 주민들과 비교할 수 없다"며 "우크라이나 정부가 중국을 망신시키고 영향력을 행사하려는 시도가 푸틴을 돕는 중국의 정책을 바꿀 것이라는 희망은 거의 없다"고 덧붙였다. 그는 "중국이 자동차, 기계류, 전자 부품을 포함한 이중 목적 상품을 공급했다는 이전의 모든 폭로는 중국의 입장을 바꾸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우크라이나 국가안보국방위원회(NSC)는 생포된 중국인들을 "용병"으로 규정했으며, 이는 우크라이나가 평양이 파견한 것으로 추정되는 1만 2000명의 북한 군인 규모에 비해 훨씬 적은 수치다.
한편, 전쟁연구소(Institute for the Study of War)에 따르면 러시아는 인도, 네팔 및 아프리카 국가에서도 취약한 이주 노동자를 모집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인도 당국은 지난해 러시아 기관들이 인신매매 네트워크를 운영하며 허위로 자국민을 러시아로 유인한 뒤 군사 계약에 서명하도록 강요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고 이 매체는 전했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