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한-호주, 100kg 이하 소형위성 공동개발·우주발사장 협력 강화 추진

글로벌이코노믹

한-호주, 100kg 이하 소형위성 공동개발·우주발사장 협력 강화 추진

PNT 지상국 구축·우주 상황 인식 협력도 추진... 양국 '신흥 우주강국' 지위 강화 기대
2021년 12월 13일 캔버라 국회의사당에서 열린 서명식에서 한국과 호주 국기가 보인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2021년 12월 13일 캔버라 국회의사당에서 열린 서명식에서 한국과 호주 국기가 보인다. 사진=로이터
한국과 호주 양국이 소형위성 공동개발, 우주발사장 건설 등 우주 분야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본격 모색하고 있다.

호주 전략정책연구소(ASPI)16(현지시각) '더 스트래티지스트(THE strategist)' 보도를 통해 한국과 호주가 실질적인 성과를 도출할 수 있는 우주 분야 공동 프로젝트 추진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이번 제안은 한국 방위사업청(DAPA) 소속 이상순 ASPI 객원 연구원이 작성한 보고서를 통해 나왔다.

이 연구원은 보고서에서 "양국이 국가 안보, 경제 성장, 자원관리 분야에서 상호 이익을 얻을 수 있는 우주 협력 기회가 있다"고 강조했다.

보고서는 첫 번째 협력 분야로 100kg 미만의 소형위성 기술 공동 연구개발을 제안했다. 소형위성은 공동개발을 통해 양국이 국내 제조 기술과 인프라를 구축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이 연구원은 "소형위성군이 대우주 위협에 대응해 복원력을 강화하는 데 더 효과적"이라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한국은 북한에 대한 감시·정찰 강화를 위해, 호주는 민방위 지원을 위한 지구관측 목적으로 소형위성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호주 정부는 20236월 지구관측 국가우주임무(NSMEO) 프로젝트를 취소했지만, 우주기반 지구관측과 정보·감시·정찰 요구사항은 여전히 유효하다고 보고서는 강조했다.

두 번째 협력 분야로는 위치·항법·시간(PNT: positioning, navigation and timing) 영역에서의 협업을 제안했다. 보고서는 호주가 지상국 구축을 위한 최적의 위치에 있어 한국이 계획 중인 한국형 위치체계(KPS)와 한국형 증강위성체계(KASS)를 지원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는 일본의 준천정 위성 시스템을 호주가 이미 호스팅하고 있는 협정 사례를 통해 입증된 바 있다.

이러한 협력은 뉴질랜드와 공유 중인 호주의 기존 남반구 위치증강네트워크(SouthPAN)를 보완해 양국의 PNT 서비스 정확성, 다양성 및 복원력을 향상시킬 것이라고 보고서는 전망했다.

보고서는 가장 중요한 협력 분야로 우주발사 분야를 꼽았다. 이 연구원은 "발사 허가, 수출 허가, 수출입 세금 지불과 같은 절차와 규제 제도를 간소화하면 상업용 로켓의 국경 간 이동과 발사가 보다 효율적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양국이 적도에 가깝고 잠재적 위협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지리적 이점을 활용해 영구 우주발사장 건설·운영 협정을 체결할 것을 권고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적도 인근에서 발사되는 로켓은 지구 회전 속도의 이점을 활용해 킬로그램당 발사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호주에서의 발사는 인구 밀집 지역 비행을 피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현재 한국 기업들은 이미 호주와 발사 협력을 진행 중이다. 한화그룹은 퀸즐랜드주 보웬에서 에리스 1호 로켓을 발사할 계획인 길모어 스페이스(Gilmour Space)와 파트너십을, 이노스페이스(Innospace)는 호주 적도발사대(Equatorial Launch Australia)와 케이프 요크 우주항 발사 서비스 계약을 체결했다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이 연구원은 우주 상황 인식 및 우주 교통 관리에 대한 협력 강화도 제안했다. "우주가 그 자체로 작전 영역이기 때문에 경쟁이 치열하고 위기 시 전투 영역이 될 가능성이 높다는 현실을 감안할 때, 이러한 협력이 본질적으로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우주 상황 인식에 대한 협력을 강화하는 것은 회복력을 통한 억지력 협력을 위한 핵심 단계"라고 덧붙였다.

보고서는 정부, 민간 부문, 시민사회가 참여하는 우주 대화 창구 마련을 권고하며, 이를 통해 "협업을 구축하고 실질적인 협업과 정책 개발에 대한 관점을 정기적으로 공유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이를 통해 우주발사 협력에 대한 정부 간 합의와 소형 위성 개발 및 PNT 분야 지원을 위한 기술 실무 그룹 구성 등이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더 나아가 이 연구원은 향후 달 탐사선과 같은 '문샷(moonshot)' 프로젝트 공동개발이나 자원이 풍부한 소행성 공동 임무, 우주 제조·자원 활용·우주 물류 기술 연구 등 야심찬 협력 가능성도 제시했다.

호주와 한국은 모두 신흥 우주 강국으로서 "상호 이익을 위해 우주 영역을 더 빨리 사용하기 위해 협력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이 연구원의 분석은 앞으로 한-호주 우주 협력 강화 논의에 중요한 기여를 할 것으로 보인다고 이 매체는 전했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