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맥더모트 해상 선박 안전 '빨간불'...잇단 사고에 규제 당국 '개선 명령'

글로벌이코노믹

맥더모트 해상 선박 안전 '빨간불'...잇단 사고에 규제 당국 '개선 명령'

DLV 2000 선박서 발전기 깔림 사고 발생, 노동자 중태...닝갈루 인근 해체 작업 차질
놉세마, 산업 표준 미준수 및 문서 미제출 이유로 맥더모트에 철퇴
미국 계약업체 맥더모트의 해양 건설 선박 DLV 2000. 사진=맥더모트이미지 확대보기
미국 계약업체 맥더모트의 해양 건설 선박 DLV 2000. 사진=맥더모트
미국 건설 계약업체 맥더모트의 해양 건설 선박 DLV 2000에서 안전 불감증이 만연한 것으로 드러났다. 호주 해상 안전 규제 당국인 놉세마(Nopsema)는 이 선박에서 잇따라 발생한 심각한 안전 문제와 관련해 '개선 통지'를 내렸다고 업스트림 온라인이 지난 15일(현지시각) 보도했다. 특히 세계적인 다이버 명소인 닝갈루 산호초 인근 스타이보 유전 해체 작업 중 발생한 사고로 인해 노동자가 중태에 빠지면서 파장이 일고 있다.

놉세마에 따르면, DLV 2000 건설 선박 갑판에 제대로 고정되지 않은 발전기에 작업자가 깔리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작업자는 갈비뼈가 부러지고 폐 손상 가능성이 있는 심각한 부상을 입은 것으로 알려졌다. 즉시 응급 처치를 받은 그는 헬리콥터를 통해 병원으로 이송돼 현재 회복 중이다.

규제 당국은 "선박 운영사인 미국 업체 맥더모트가 무거운 장비를 갑판에 안전하게 고정하기 위한 합리적으로 실행 가능한 모든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고 강하게 질타했다.

규제 당국, 맥더모트에 '개선 명령'...안전 관리 강화 촉구
놉세마가 맥더모트에 발송한 개선 통지서에는 회사가 업계 표준 체결 절차를 준수하지 않았으며, 절차 및 엔지니어링 계산서를 포함한 규제 당국의 문서 요청에 응하지 않았다는 내용이 담겼다. 지난 320일 통지된 바에 따르면, 맥더모트는 30일 이내에 선박 내 화물 고박에 대한 교육 및 감독을 강화해야 한다.

이번 사고 이전에도 DLV 2000에서는 두 건의 안전 사고가 더 발생했던 것으로 확인됐다. 놉세마 대변인은 "리프팅 장비 고장과 손상된 해저 원격 조종 장비(ROV)에 대한 신고가 있었다"고 밝혔다. 다만 현재 조사가 진행 중이라는 이유로 추가적인 언급은 자제했다.

익명을 요구한 한 업계 관계자는 DLV 2000의 크레인 작동에 지속적인 문제가 있었다고 전했다. 보일링 콜드(Boiling Cold)의 보도에 따르면, 지난 321일에는 무게가 10톤을 넘는 ROV와 발사 및 회수 시스템이 회수 작업 중 갑판으로 추락해 고가의 장비에 심각한 구조적 손상이 발생했다.

또한, 보일링 콜드는 지난 217일 밤 발생한 리프팅 장비 사고에 대해서도 확인했다. 당시 150톤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된 폴리에스터 슬링이 파손되면서 작업자가 부상을 입었다.

우드사이드는 엑스머스에서 50km 떨어진 스타이보 유전의 해체 작업을 진행 중이다. 이 유전은 BHP2015년까지 운영했으며, 2022년 우드사이드가 BHP의 석유 사업부를 인수하면서 해체 책임이 우드사이드로 넘어왔다. 해체 작업에는 10개의 유정을 영구적으로 폐쇄하고, 해저 장비를 철거하며, BHP가 스타이보 유전을 폐쇄한 직후 810m 깊이의 해저에 가라앉은 터릿 계류 장치를 인양하는 작업이 포함된다.

향후 수십 년 동안 호주 해상 석유 및 가스 생산 기업들은 유정 폐쇄 및 해양 장비 철거에 500억 달러(71조, 3900억 원) 이상을 쏟을 것으로 예상된다. 해체 작업은 이동되는 구조물의 물리적 상태가 좋지 않을 수 있어 건설 작업보다 잠재적인 위험성이 더 크다는 지적도 나온다. 더불어 기업들이 수익을 내지 않는 활동에 투자하는 것을 꺼릴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놉세마 대변인은 해체 계획의 세부 사항 검토에 대한 집중도를 높였다고 밝혔다. 그는 "놉세마는 프로젝트 수명 주기 전반에 걸쳐 해체 계획을 수립하고, 프로젝트가 운영 종료 시점에 가까워질수록 상세 계획 수준을 높일 것을 권장한다"고 강조했다.

업스트림 온라인은 우드사이드, 맥더모트, 그리고 노동조합인 오프쇼어 얼라이언스(Offshore Alliance) 측에 논평을 요청했으나 아직 답변은 없는 상태라고 밝혔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