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행정부와 마러라고 회동 직후 베이징서 관리들과 만남
"딥시크 논란" 속 美 의원들 수출통제 칩 조사 요구
"딥시크 논란" 속 美 의원들 수출통제 칩 조사 요구

앞서 16일에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미국의 반도체 규제 조치로 엔비이아와 AMD의 주가는 각각 7% 하락했으며, 엔비디아는 55억 달러(약 7조 8000억 원), AMD는 최대 8억 달러(약 1조 1300억 원)의 매출 타격을 예상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 미국, AI 칩 수출 제한으로 중국 기술 발전 견제
이번 규제는 엔비디아의 H20과 AMD의 MI308 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중국이 인공지능(AI) 분야에서 미국의 기술 없이 발전해야 한다는 트럼프 행정부의 강경한 입장을 보여준다. 특히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가 적은 컴퓨팅 파워로 강력한 모델을 구축한 성과가 이번 조치의 촉발 요인 중 하나로 알려졌다.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은 지난 1월 지명 청문회에서 "그들이 우리와 경쟁할 거라면 경쟁하게 하되, 우리와 경쟁하기 위해 우리의 도구를 사용하는 것은 그만두라"고 강조했다.
수출 제한 조치는 약 2주간의 사전 준비 기간을 거쳐 시행됐다. 이 과정에서 중국 기업들은 미국의 규제를 예상하고 선제적 대응에 나섰다. WSJ 보도에 따르면, 중국 기업들은 올해 첫 3개월 동안 약 180억 달러(약 25조 5000억 원) 규모의 엔비디아 H20 칩 주문을 단행했다. 이는 지난 회계연도 엔비디아의 중국 총 매출액을 상회하는 금액이다. 알리바바, 텐센트, 바이트댄스 등 중국 클라우드 컴퓨팅 기업들이 가장 큰 구매자였다.
◇ 황 CEO, 제재 발표 직후 베이징 방문... 트럼프와 마러라고 회동 무색
파이낸셜타임스(FT)는 젠슨 황 CEO가 지난 16일 베이징을 방문해 중국 관계자 및 기술 리더들과 만나 미국의 수출 제한 조치 여파를 논의했다고 최근 보도했다. 현지 언론과 여행 일정에 정통한 소식통에 따르면, 황 CEO는 15일 중국에 도착했으며, 중국 국제 무역 촉진 위원회의 초청으로 방문이 이루어졌다.
주목할 점은 엔비디아가 이달 초 마러라고에서 황 CEO와 트럼프 대통령의 회동 후 중국에 H20 칩을 계속 판매할 수 있다는 인상을 받았다는 사실이다. 당시 엔비디아는 알리바바, 바이트댄스, 텐센트 등 주요 중국 고객들에게 H20 구매가 영향받지 않을 것이라고 전달했으나, 결국 제재 발표로 55억 달러의 수익 타격을 예상하게 됐다.
중국 소셜미디어 웨이보에 게시된 중국 관영 매체의 포스트에 따르면, 이번 방문 중 황 CEO가 카메라 앞에서 미소 짓는 모습이 포착됐으며, 이전에 그가 중국과 계속 협력하고 싶다고 밝힌 점이 언급됐다.
◇ 미·중 기술 패권 경쟁 격화와 딥시크 논란 부상
"당신이 규칙에 따라 플레이하고 팀을 위해 희생하고 있다고 생각하더라도, 규칙은 내일 바뀔 수 있고 당신은 다시 타격을 입을 수 있다"고 카토 연구소의 스콧 린시컴 일반 경제 및 무역 정책 부사장은 밝혔다. 그는 "30년 프로젝트에 수십억 달러를 지출하고 싶어하는 사람들에게는 잔인한 환경"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방문은 미국 의원들이 중국 AI 기업 딥시크가 수출 통제 대상 칩을 어떻게 입수할 수 있었는지에 대한 정보를 엔비디아에 요구하고 있는 민감한 시점에 이루어졌다.
엔비디아의 경우 중국 시장은 매출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분석가들에 따르면 지난 1월 종료된 회계연도에 엔비디아는 약 120억 달러(약 17조 원)의 H20을 판매했으며, 이는 회사 중국 매출의 약 70%를 차지한다.
씨티그룹 분석가들은 최근 보고서에서 중국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들이 원래 H20 프로세서로 2025년 AI 가속기 수요의 50%를 충당할 계획이었으나, 이제 화웨이와 캠브리콘 AI 칩으로 전환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한편, 엔비디아 매출 구조에서 중국 비중은 2019년부터 2025년까지 점차 감소하는 추세지만, 여전히 중요한 시장으로 남아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오는 5월까지 전 세계 첨단 AI 칩 판매 처리 방안을 결정할 예정이어서, 반도체 업계의 추가 변화가 예상된다. 이는 트럼프 행정부가 지난주 중국에 145%의 관세를 부과했다가 며칠 후 프로세서, 스마트폰 등 전자 제품에 대한 관세를 면제한 일관성 없는 행보 속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