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 인상으로 미국 소비자 고통 가중될 듯

지난 17일(현지시각) 뉴스위크에 따르면, 예일대학 예산연구소는 최신 무역 정책 업데이트에서 "현재 시행 중인 관세로 인해 단기적으로 가구당 4,900달러에 해당하는 3%의 가격 상승이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예일대 예산연구소에 따르면, 미국 소비자들은 현재 1901년 이래 가장 높은 수준인 28%의 평균 실효 관세율에 직면해 있다. 소비자들이 비싼 수입품에서 국내산 제품으로 선호도를 바꾸더라도 평균 관세율은 여전히 18%에 달할 것이라고 연구소는 설명했다.
예일대 예산연구소는 "2025년 관세가 의류와 섬유에 특히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소비자들은 단기적으로 신발과 의류 가격이 각각 87%와 65% 상승하고, 장기적으로는 29%와 25%로 하락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 주별 관세 부담 격차 뚜렷... 컴퓨터·전자제품 수입 많은 지역 타격
경제 정책 연구 회사인 무역파트너십(Trade Partnership Worldwide)의 분석 결과, 미국 내에서도 주별로 관세 부담의 차이가 크게 나타날 전망이다. 지난 18일 뉴스위크가 보도한 내용에 따르면, 특히 컴퓨터 및 기타 전자제품의 미국 최대 수입지역인 캘리포니아주는 2025년에 1706억 달러(약 242조 9300억 원) 이상의 관세를 납부할 것으로 예상되어 가장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 나타났다.
캘리포니아에 이어 텍사스주가 827억 달러(약 117조 7000억 원), 일리노이주가 419억 달러(약 59조 6000억 원)의 관세를 부담할 것으로 예상되며, 거의 모든 주가 10억 달러(약 1조 4000억 원) 이상의 수입 비용을 지불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무역파트너십의 대니얼 앤서니 회장은 ABC 뉴스와의 인터뷰에서 "관세가 수입 수요를 감소시켜 수입세 징수를 줄일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모든 주에 대한 최종 영향은 더 낮을 것"이라고 말했다.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이사회 의장은 시카고 이코노믹 클럽이 주최한 행사에서 "지금까지 발표된 관세 인상 수준은 예상보다 훨씬 크다"며 "높은 인플레이션과 성장 둔화를 포함한 경제적 효과도 마찬가지일 것"이라고 우려를 표명했다.
브라운 대학의 세브넴 칼렘리-외즈칸 경제학 교수는 뉴스위크와의 인터뷰에서 관세가 현재 수준으로 유지된다면 '물가는 오르고 경제 성장은 둔화되는' 상황이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지난 4월 10일 무역 정책 업데이트 이후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를 145%로 인상하자, 중국도 미국산 수입품에 대한 보복 관세를 84%에서 125%로 인상한 바 있다. 이에 중국 판매가 주력인 온라인 쇼핑몰 테무와 쉬인은 "최근 세계 무역 규칙과 관세 변화로 인해" 오는 4월 25일부터 "가격 조정"을 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세계무역기구(WTO)는 최근 발간한 '세계 무역 전망 및 통계' 보고서에서 "관세 급등과 무역 정책 불확실성으로 세계 무역 전망이 크게 악화됐다"며 "미국의 '상호 관세' 중단을 포함한 14일 기준 시행 중인 조치에 따라 세계 상품 교역량은 2025년 0.2% 감소한 후 2026년 2.5%의 완만한 회복세를 보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트럼프 행정부는 관세가 오랜 무역 불균형을 바로잡고 미국 제조업을 재건하는 데 필수적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지난 9일 발표에 따라 중국을 제외한 국가들에 대한 상호 관세는 90일간 중단된 상태며, 백악관은 이 기간 동안 다른 나라들이 미국과 더 유리한 무역 협정을 제안할 기회를 주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근 트럼프 대통령은 상무부 장관에게 미국이 핵심 광물 수입에 의존하는 것이 국가 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도록 지시했으며, 백악관은 이 조사 결과가 새로운 관세 부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밝혔다.
이에 경제학자 게리 허프바우어는 뉴스위크와의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90일 유예 기간 동안 일부 무역 양보와 구매 약속을 얻어낼 수 있을 것"이라며 "중국과 유럽연합을 제외한 대부분 국가에서는 유예 기간이 연장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