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워싱턴 G20 재무장관 회의 23일 개막...美 장관 첫 참석, 관세·환율 파고

글로벌이코노믹

워싱턴 G20 재무장관 회의 23일 개막...美 장관 첫 참석, 관세·환율 파고

베선트 美 재무장관 2차 트럼프 행정부 첫 참석...최상목 韓 부총리도
보호무역·달러 강세 충돌 예고...미·일 환율 개별 협의 가능성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가 23일(현지 시각)부터 24일까지 미국 워싱턴에서 열린다. 이번 회의에는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한국 대표로 참석한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가 23일(현지 시각)부터 24일까지 미국 워싱턴에서 열린다. 이번 회의에는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한국 대표로 참석한다. 사진=로이터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가 23일(현지 시각)부터 24일까지 미국 워싱턴에서 열린다. 올해 G20 의장국인 남아프리카공화국 주최로 열리는 이 회의에는 트럼프 2기 미국 행정부 출범 후 처음으로 담당 장관인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이 참석할 전망이다.

지난 20일(현지 시각) 닛케이에 따르면 '연대, 평등, 지속가능성'이라는 주제 아래 진행될 이번 회의에서는 미국의 관세 정책을 둘러싸고 각국에서 비난 목소리가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회의에는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한국 대표로 참석한다.

올해 G20 의장국인 남아공에서는 에녹 고동와나 재무장관과 레세차 캉야고 중앙은행 총재가 참석해 회의를 주도한다. 회의에는 한국·일본·미국 등 G20 회원국의 재무장관과 중앙은행 총재들이 참여하며, 유럽연합에서는 마리오 첸티노 유로그룹 의장이 참석할 예정이다. 회의에서는 글로벌 경제 현황, 금융 안정, 조세, 인프라, 기후 금융 등 세계 경제의 핵심 이슈들이 폭넓게 다뤄진다.

베선트 장관은 지난 2월 남아공에서 열린 G20 회의에는 불참했다. 당시 남아공의 의장 총괄은 미국의 관세 인상 표명을 염두에 두고 "보호주의에 대한 저항을 재확인했다"고 명시했다. 당시 회의는 공동성명 없이 폐막했다.

관세 장벽 파고글로벌 경제에 미칠 영향 촉각


미국은 철강·알루미늄·자동차 외에도 각국 일률 10%의 상호관세 등을 발동했다. 이번 G20 회의에는 자유 무역을 중시하는 국가·지역과의 협조를 목표로 하는 유럽 각국과 관세 인상 보복 조치로 맞서는 중국 대표자도 참석할 전망이다.

시장에서는 미국의 관세 정책으로 인해 미국 경제의 선행 지표가 불투명해지면서 미국 국채 매도 압력이 높아지고 있다. 수익률은 상승세(채권 가격 하락)를 보인다. 신흥국은 달러를 중심으로 한 외화 표시 채무 비중이 높아 금리 상승 시 상환 부담이 커진다. 미국 관세가 세계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의견 표명이 잇따를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행정부는 미국 국제개발처(USAID)도 사실상 해체했다. 개발도상국 지원 지연이 우려된다. G20 의장국인 남아공 등 아프리카와 아시아에서 미국의 영향력이 약해지면 중국의 반격이 예상된다. 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에 맞춰 국제통화기금(IMF)과 세계은행 회의도 워싱턴DC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미·일, 관세 넘어선 환율 논의 주목

미·일 양국 정부는 일련의 회의와 병행해 재무장관 회담을 개최하는 방향으로 조율 중이라고 닛케이는 전했다. 미·일 관세 협상에서 베선트 장관이 미국 측 협상 대표로 지명된 상태라 협의 내용이 주목된다. 그는 "관세, 비관세 장벽, 통화 문제, 정부 보조금을 둘러싼 생산적인 노력에 대해 기대하고 있다"며 환율 문제도 다룰 뜻을 내비쳤다.

관세 협상 일본 측 담당 장관인 아카자와 료세이 경제재정·재생상은 지난 17일 워싱턴에서 트럼프 대통령 및 베선트 장관 등과 첫 협의에 나섰다. 이날 환율에 대해서는 의제로 다루지 않았다.

환율 문제는 가토 재무상과 베선트 장관 간에 논의하기로 되어 있으며, G20 회의 기회를 활용해 두 사람이 대면해 협의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두 사람은 지난 1월 온라인으로 회담한 바 있다. 대면 회담은 이번이 처음이다.

가토 재무상은 "환율은 시장에서 결정되는 것"이라는 견해를 반복해서 밝히고 있다. 미국과 "환율의 과도한 변동이나 무질서한 움직임은 경제적 안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인식을 공유하고 있다고도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내 제조업 재건에 힘쓰며, 수출에 불리한 엔화 약세·달러 강세를 문제 삼는다. 베선트 장관은 과거 일본의 방위비 증액에 대해 언급하며 "엔화 기준이므로 엔화 약세 진행에 따라 달러 기준으로는 다소 줄었을 수도 있다"고 말한 바 있다. 달러 강세 시정을 협상 카드로 꺼낼 수 있다는 우려가 잠재돼 있다.

일본은 수입 물가 상승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엔화 약세 시정에 대해 타협할 여지는 있다. 한편, 우에다 가즈오 일본은행 총재는 트럼프 관세가 일본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해 "불확실성이 크게 높아졌다"고 말했다.

환율 조항 도입까지 논의가 진행될 경우 일본은행의 금융 정책과 직결된다. 현재의 완화적인 통화 정책이 통화 약세 유도라고 비판받게 되면, 미국 관세가 일본 경제를 압박했을 때 기동력을 잃을 수 있다. 급격한 엔화 강세가 진행될 경우 대응 역시 어려워진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