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 정책 여파로 민생 불안감 고조, 경제지지율 역대 최저 기록

이번 갤럽 조사에서 재정 상황이 좋아지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38%에 그쳤으며, 같은 상태라고 응답한 비율은 8%로 나타났다. 특히 주목할 점은 공화당 지지자 중에서도 28%가 재정 상황 악화를 느끼고 있으며, 이러한 부정적 인식이 과거 세 차례의 경기침체기(2001년, 2007-2009년, 2020년)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물가상승 시기보다도 높게 나타났다는 것이다.
이런 경제적 불안감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과 직결되며 국정 지지도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워싱턴포스트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22일 관세 정책에 대한 기조 변화를 시도했는데, 이는 불안정해지는 경제를 안정시키려는 명백한 움직임으로 해석된다.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은 중국과의 무역갈등이 곧 완화될 수 있다는 신호를 보냈으며, 트럼프 대통령 역시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 의장을 해임할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이는 고위 보좌관이 불과 며칠 전 파월 의장 해임 가능성을 시사한 것과는 상반된 입장이다.
◇ 서민들 "관세 정책이 경제에 타격" 우려 확산... 주식 소유 여부와 무관
트럼프 대통령의 경제정책에 대한 지지율 하락세는 여러 여론조사에서 확인되고 있다. 이달 로이터-입소스 여론조사에서 트럼프의 경제 관련 지지율은 37%에 그쳤는데, 이는 첫 임기를 포함해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퀴니피악 대학 여론조사에서는 경제 관련 사안에 대해 미국인들의 55%가 트럼프에 반대 입장을 보였으며, 지지는 40%에 그쳐 15%포인트 차이를 보였다. 이는 경제 분야에서 트럼프가 기록한 가장 부정적인 지표다. 지난 23일 발표된 이코노미스트-유고브 여론조사에서도 '일자리와 경제' 부문에서 트럼프에 대한 반대가 53%, 지지는 41%로 처음으로 두 자릿수 격차가 발생했다.
주목할 만한 점은 이러한 경제 불안감이 주식시장만의 문제가 아니라는 것이다. 여론조사에 따르면 주식을 보유하지 않은 사람들은 주식을 보유한 사람들(5%포인트 하락)보다 오히려 더 큰 폭(8%포인트)으로 재정 상황 악화를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관세 정책에 대한 우려가 두드러졌다. 퀴니피악 여론조사에 따르면 미국인의 72%가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단기적으로 경제에 타격을 줄 것이라고 응답했으며, 53%는 장기적으로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했다.
물가상승 대응에 대한 평가도 저조했다. 로이터와 이코노미스트 여론조사 모두에서 물가상승 관련 이슈에 대해 20%포인트 이상의 부정적 평가가 나왔으며, 이코노미스트 여론조사에서는 공화당 지지자 중에서도 21%가 트럼프의 물가상승 대처에 반대 의견을 표명했다.
이코노미스트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미국인들은 트럼프의 경제 조치가 개인적으로 도움이 되기보다는 해를 끼쳤다는 응답이 약 30%포인트 높았고, 미국 경제 전체에도 해를 끼쳤다는 응답이 30%포인트 이상 높았다. 특히 무당파 유권자 중 트럼프의 경제 조치가 개인적으로 도움이 됐다는 응답은 10%에 불과했고, 절반은 피해를 입었다고 답했다. 또한, 트럼프의 경제정책이 "많이" 해를 끼쳤다고 응답한 비율이 "많이" 도움이 됐다고 답한 비율보다 약 4배 높게 나타났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정책이 단기적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장기적으로는 경제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주장해왔으며, 이에 동의하는 미국인도 41%에 달했다. 그러나 여론조사 결과는 경제 불안감이 특히 정치적 중도층에서 트럼프에 대한 지지 이탈로 이어지고 있음을 뚜렷하게 보여주고 있다고 이 매체는 전했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