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애플 "내년부터 미국 판매 아이폰 전량 인도서 생산"...트럼프 관세 대응

글로벌이코노믹

애플 "내년부터 미국 판매 아이폰 전량 인도서 생산"...트럼프 관세 대응

2026년까지 연간 6000만대 인도 생산 목표...中 의존도 낮추는 글로벌 공급망 재편 가속화
애플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중국 수입품에 대한 관세 부과 압박에 대응해 빠르면 내년부터 미국에서 판매되는 모든 아이폰의 조립을 인도로 옮길 계획을 밝혔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애플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중국 수입품에 대한 관세 부과 압박에 대응해 빠르면 내년부터 미국에서 판매되는 모든 아이폰의 조립을 인도로 옮길 계획을 밝혔다. 사진=로이터
애플이 중국을 떠난다. FT는 지난 25(현지시각) 애플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중국 수입품에 대한 관세 부과 압박에 대응해 빠르면 내년부터 미국에서 판매되는 모든 아이폰의 조립을 인도로 옮길 계획이라고 보도했다.

FT에 따르면, 애플은 2026년 말까지 미국 시장에서 연간 판매되는 약 6000만 대의 아이폰을 모두 인도에서 조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는 애플이 지난 20년간 중국에서 구축해온 생산 체계를 크게 바꾸는 조치다.

◇ 미·중 무역갈등으로 생산기지 다변화 속도 높여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직후 중국산 수입품에 최대 100% 이상의 "상호적" 관세를 매기겠다고 발표했으며, 이후 스마트폰에 대해서는 일시적 유예를 제안했지만, 여전히 20%의 세율이 적용된다. 반면 인도에는 26%의 관세가 책정됐으나, 현재 미국과 인도 간 양자 무역 협정 추진 과정에서 일시 중단됐다.

JD 밴스 미국 부통령은 인도 방문 중 양국이 무역협정에서 "매우 좋은 진전"을 이루고 있다고 밝혔다.

국제데이터공사(IDC)에 따르면, 미국 시장은 2024년 애플 아이폰 전 세계 출하량 23210만 대 중 약 28%를 차지하고 있다. 애플이 인도에서 미국 판매용 아이폰을 전량 생산하려면 현지 생산 능력을 크게 늘려야 한다.

◇ 관세 우려로 시가총액 7000억 달러 증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발표 이후 애플의 시장 가치는 7000억 달러(10077000억 원) 감소했다. 이에 애플은 중국에 부과된 높은 관세를 피하기 위해 인도산 아이폰의 미국 수출을 서둘러 추진하고 있다.

애플은 최근 수년간 타타 일렉트로닉스와 폭스콘 등 계약 제조업체와 함께 인도에서 생산 능력을 꾸준히 확대해왔으나, 여전히 대부분의 스마트폰은 중국에서 조립되고 있다. 지난해 폭스콘과 타타는 인도에서 생산량을 늘리기 위해 중국에서 사전 조립된 부품 세트를 수입하기 시작했다.

아이폰 조립은 생산 공정의 마지막 단계로, 애플은 여전히 중국 공급업체가 만드는 수백 개의 부품을 한데 모으는 과정이다.

퓨처럼 그룹의 다니엘 뉴먼 최고경영자는 "이것은 애플이 성장 동력을 유지할 수 있는 중요한 움직임이 될 것"이라며 "이러한 자원을 가진 기업이 관세 위험에 대응하기 위해 신속하게 움직이는 모습을 실시간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는 지난 1월 트럼프 대통령 취임식에 참석한 이후 트럼프 대통령과 그의 행정부와 꾸준히 소통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애플은 다음 주 분기 실적을 발표할 예정이며, 투자자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애플 경영에 미치는 영향을 주시하고 있다고 이 매체는 전했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