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토요타 자동직기, 주식 비공개화 검토

글로벌이코노믹

토요타 자동직기, 주식 비공개화 검토

토요타 등 출자 SPC 공개매수 방식...6조엔 규모 전망
주주 환원 압박·상장 비용 부담에 자본 시장 독립 모색
토요타 자동직기가 주식 비공개화를 검토하는 가운데, 토요타 등 계열사가 출자하는 특수목적법인(SPC)의 공개매수 방식으로 6조 엔 규모의 인수가 전망되고 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토요타 자동직기가 주식 비공개화를 검토하는 가운데, 토요타 등 계열사가 출자하는 특수목적법인(SPC)의 공개매수 방식으로 6조 엔 규모의 인수가 전망되고 있다. 사진=로이터
토요타 자동차의 뿌리가 되는 기업인 토요타 자동직기(豊田自動織機)가 주식 비공개화를 추진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토요타 자동차 등 계열사가 출자하는 특수목적법인(SPC)을 설립하고, 토요타 자동직기에 대해 공개매수(TOB)를 실시해 인수하는 방식이 거론되고 있다고 닛케이가 26(현지시각) 보도했다.

◇ 비공개화 추진 방안과 규모

인수 자금은 SPC에 토요타 및 계열사가 출자하고, 금융기관으로부터 융자를 받는 방식으로 조달이 검토된다. 다만, 거액의 자금 조달 가능성과 토요타 주주의 이해 획득 여부 등은 불투명하며, 실현성은 여전히 유동적인 상황이다.
토요타 자동직기의 25일 종가 기준 시가총액은 43000억 엔(43387억 원)이다. TOB 시 일정 수준의 프리미엄을 더할 경우, 인수 총액은 6조 엔(60540억 원) 규모에 달할 가능성이 있다. 출자에 참여하는 기업의 주주 입장에서는 상응하는 투자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울 경우 출자를 지지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 주주 압박과 전략적 배경

토요타 자동직기는 토요타 주식 9%(32000억 엔 상당)를 보유한 토요타의 주요 주주다. 그간 일부 주주들로부터 자산의 유효 활용 요구가 있었다. 특히 2024년에는 영국 투자 펀드 애셋 밸류 인베스터스(Asset Value Investors, AVI)가 상장 자회사 아이치 코퍼레이션(Aichi Corporation)과의 부모-자 회사 동시 상장 해소를 요구했고, 프랑스 펀드 롱샴 SICAV(Longchamp SICAV)는 적극적인 자사주 매입을 요구하기도 했다.

토요타 자동직기는 이에 주주 환원 강화 방침을 발표했지만, 장기 사업 전략 수립이 어려워지는 것에 대한 위기감도 함께 느끼는 것으로 파악된다. 자본 시장으로부터 독립된 형태로 성장 경로를 모색하려는 배경이다. 주주들의 환원 압력 등 상장 유지 비용이 상승하면서, 최근 일본에서는 대기업이 주식 비공개화를 선택하는 사례가 증가하는 추세다.

토요타 자동직기는 1926년 토요타 그룹 창업자인 도요다 사키치(豊田佐吉) 씨가 설립했다. 1937년에는 사내 자동차 부문이 분리돼 토요타 자동차 공업(현 토요타)이 세워졌다. 토요타의 '어머니' 격인 그룹 핵심 기업 중 하나로, 1949년 도쿄 증권거래소에 상장됐다.

회사 측 입장을 보면, 토요타 자동직기는 25"당사 그룹의 기업 가치 향상을 위한 자본 정책을 포함한 모든 가능성을 검토하고 있으나, 현 시점에서 결정된 사항은 전혀 없다"고 공식 발표했다. 토요타 자동차 역시 같은 날 "당사가 보유한 토요타 그룹 주식에 대해서는 항상 최적의 형태를 검토하고 있으나, 현 시점에서 결정된 사실은 없다"고 밝혔다.

◇ 행동주의 펀드 공세 확산

한편, 프랑스 펀드인 롱샴 SICAV25일 토요타 자동직기에 대해 △자본 비용 및 주가를 의식한 경영 실현 △이사회 과반수 사외이사 구성 △이사 보수 양도 제한부 주식 등 증액 등 3가지 주주 제안을 할 방침임을 밝혔다. 토요타 자동직기는 이사회 논의를 거쳐 모든 제안에 반대한다고 표명했다. 롱샴은 지난해에도 자사주 매입을 제안했으나, 토요타 자동직기가 주주 환원 강화 방침을 제시하면서 철회한 바 있다. 이 제안은 미국 펀드 달튼 인베스트먼트(Dalton Investments)가 롱샴 대리인으로서 제기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2024년에는 영국 투자 펀드 AVI가 토요타 자동직기의 상장 자회사 아이치 코퍼레이션에 부모-자 회사 동시 상장 해소를 요구하기도 했다. 토요타 자동직기는 이토추(Itochu) 등 제3자 매각을 통해 이 문제를 해결할 방침이라고 밝힌 바 있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