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파업권 확보한 기아 노조, 완성차 업계 노사리스크로 우려

글로벌이코노믹

산업

공유
0

파업권 확보한 기아 노조, 완성차 업계 노사리스크로 우려

기아 노조 합법적 파업권 확보…4년 만에 파업하나
협상력 높이기 위한 차원이라는 시각 지배적
부분파업 중인 한국지엠 노조…KGM·르노코리아도 갈등

인천항에서 수출용 선박에 선적을 기다리는 쉐보레 트레일블레이저가 대기하고 있다. 사진=한국지엠이미지 확대보기
인천항에서 수출용 선박에 선적을 기다리는 쉐보레 트레일블레이저가 대기하고 있다. 사진=한국지엠
기아 노동조합이 조합원을 대상으로 진행한 쟁의행위 찬반 투표에서 파업을 가결했다.

앞서 중앙노동위원회에서 조정 중지 결정까지 내리면서 기아 노조는 합법적인 파업권을 얻게 됐다. 이 밖에도 완성차 중견 3사도 이견을 좁히지 못한 채 평행선을 달리며 하투(여름철 노동계 투쟁)에 돌입하혀는 움직임을 보인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기아 노조는 21일 전체 조합원을 대상으로 벌인 쟁의행위 찬반 투표에서 재적인원 2만6784명 가운데 84.7%(2만2689명)의 찬성률로 쟁의행위를 가결했다. 반대는 1599명으로 재적인원 대비 6.0%에 그쳤다.

노조 측은 투표 결과에 대해 "사측이 역대급 성과를 만들어낸 조합원의 노력을 무시한 것에 대한 조합원들의 분노 어린 의지와 열망의 결과다"며 "압도적인 조합원의 결의를 담아 본격적인 투쟁의 준비를 모두 마쳤다"고 말했다.
앞서 중앙노동위원회는 19일 올해 단체 교섭에서 노사 양측 입장 차가 좁혀지지 않는다고 판단해 조정 중지 결정을 내렸다. 아울러 조합원 찬반투표에서 과반수가 찬성표를 던지면서 기아 노조는 합법적으로 파업할 수 있는 쟁의권을 확보하게 됐다.

기아 노조는 경기 광명시 기아 오토랜드 광명에서 쟁의대책위원회 1차 회의를 열고 투쟁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노조가 실제 파업에 돌입하면 4년 만이다. 올해 기아 노사 임단협의 가장 큰 쟁점으로는 '퇴직자 차량 평생 할인' 제도 복원이 꼽힌다.

2022년 임단협에서 기아 노사는 평생 할인 제도 대상 연령을 75세까지로 제한하고, 3년 주기로 25%의 할인 혜택을 제공하는 데 합의했다. 연령 제한 없이 25년 이상 근무한 퇴직자에게 2년마다 30%의 할인을 제공한 기존 제도보다 혜택이 축소된 것이다. 하지만 현대차는 기아와 달리 해당 제도를 계속 유지하고 있어 이를 다시 복원하자는 노조의 주장이 거세다.

다만 업계에서는 기아의 파업권 확보가 실제 파업으로는 이어지지 않을 것이라고 보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현대자동차와 현대모비스 등이 이미 올해 임단협을 마무리한 만큼 기아의 파업권 확보는 협상력을 높이기 위한 포석이라는 주장이다.

앞서 현대차 노조 역시 올해 임단협에서 파업권을 확보한 후에 부분파업을 예고하기도 했었다. 하지만 파업 직전 잠정합의안을 도출하며 무분규로 타결에 이른 바 있다.

금속노조 한국지엠지부의 경우 사측의 조속한 교섭을 촉구하며 부분 파업에 돌입한 상태다. 노조는 22일 10시간 파업을 단행했고, 전날도 10시간 파업을 이어 갔다. 한국지엠 노사는 지난달 23일 올해 임단협 잠정합의안을 마련했지만, 26일 전체 조합원 찬반투표 결과 찬성률 47.8%로 부결됐다. 잠정합의안에는 기본급 10만1000원 인상, 타결 일시금 및 2023년 경영 성과에 대한 성과급 등 일시금 및 성과급 1500만원 지급 등이 담겼다.

KG모빌리티(KGM)도 노사 간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이 업체는 신차 액티언 본격 출고를 앞두고 있으나, 잠정합의안 조합원 찬반투표 결과, 찬성률 50% 미만으로 부결됐다. 임금인상률이 조합원 기대에 못 미친 것으로 전해졌다. KGM 노조는 쟁대위를 꾸리고 후속 조치 논의에 들어갔다. 노조가 파업에 나서면 14년 연속 무분규라는 기록도 깨지게 된다.

신차 그랑 콜레오스 본격 출고를 앞둔 르노코리아도 노사 간 갈등의 골이 깊어지는 모습이다. 르노코리아 노조는 기본급 인상 등을 요구하고 나섰다. 하지만, 사측은 오랜 기간 판매 부진을 겪어온 탓에 무리한 요구를 들어줄 여력은 없다.

업계 관계자는 "완성차 업계가 파업 등의 여파로 지난달 생산량이 감소했고 일부는 지난해 대비 절반가량 줄어든 곳도 있다"며 "실적 악화는 물론 자금력이나 운영자금이 부족한 협력사에 치명타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김태우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ghost427@g-enews.com